지지옥션이 7일 발표한 ‘2025년 1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2730건으로 한 달 전(3510건) 대비 22% 감소했다.
반면 낙찰률은 41.4%로 한 달 전(37.6%)보다 3.8%p 상승하며 3개월 만에 40%를 넘겼다.
설 연휴에 따른 경매일정 축소로 신규 매물이 줄어든 가운데 수 차례 유찰된 아파트가 소진되면서 낙찰률이 일시적으로 반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낙찰가율은 한 달 전(84.5%) 대비 0.3%p 오른 84.8%를 기록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6.6명으로 한 달 전(5.8명) 대비 0.8명이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47.2%로 한 달 전(39.8%) 대비 7.4%p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93.3%로 한 달 전(91.8%) 대비 1.5%p 올랐다.
특히 성북구(91.2%)가 한 달 전(81.8%)에 비해 9.4%p, 강동구(96.9%) 90.4%에서 6.5%p 상승하며 서울 전체 낙찰가율 상승을 견인했다. 감정가 9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평균 응찰자 수는 7.0명으로 한 달 전(6.6명)보다 0.4명이 증가했다.
경기 아파트 낙찰률은 45.6%로 한 달 전(45.8%)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낙찰가율은 86.9%로 한 달 전(85.6%)보다 1.3%p 상승하며 5개월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신축급 아파트에 응찰자가 몰리면서 낙찰가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평균 응찰자 수는 한 달 전(7.5명)보다 1.6명이 증가한 9.1명으로 집계됐다.
인천 아파트 경매시장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36.6%로 한 달 전(40.2%) 대비 3.6%p 떨어졌다. 낙찰가율은 80.7%로 한 달 전(84.4%)보다 3.7%p 하락했다.
특히 전세사기 피해주택이 밀집한 미추홀구와 비교적 구축 아파트 비중이 높은 계양구에서 약세를 보였다. 평균 응찰자 수는 7.1명으로 한 달 전(6.6명)보다 0.5명 증가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 울산(84.0%) 아파트 낙찰가율은 한 달 전(81.0%) 대비 3.0%p 상승하며 3개월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부산(79.8%)은 0.9%p 올랐지만, 4개월 연속 80%를 넘지 못했다.
반면 대전(73.7%)은 한 달 전(78.9%) 대비 5.2%p 하락하며 2023년 3월(70.2%)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구(75.5%) 역시 2.2%p 하락하며 5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광주(78.3%)는 한 달 전 대비 1.9%p 떨어지며 14개월 만에 80%선 아래로 내려갔다.
지방 8개도에서는 강원(87.0%) 아파트 낙찰가율이 한 달 전(81.6%)보다 5.4%p 상승했고, 전북(84.1%)도 한 달 전(80.8%)보다 3.3%p 올랐다.
충남(78.3%)은 한 달 전(82.9%) 대비 4.6%p 하락했으며, 경북(79.4%)과 경남(75.9%)은 각각 1.5%p 떨어졌다. 충북(79.9%)과 전남(77.8%) 역시 각각 1.2%p, 0.1%p 낮아졌다.
진행건수 9건 가운데 4건이 낙찰된 제주 아파트 낙찰가율은 84.5%, 22건 중 10건이 낙찰된 세종 아파트 낙찰가율은 78.6%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