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 '사이버보안·딥페이크 대응 강화' 등 입법 활동 본격화


입력 2025.02.16 16:33 수정 2025.02.16 16:36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AI국 및 국제협력국 주요 사업계획 점검 및 정책 방향 청취

AI 제조 혁신, 사이버보안, 디지털 전환, 딥페이크 대응 등 핵심 조례안 의결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이제영 위원장. ⓒ경기도의회 제공

올해 처음 활동을 시작한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가 지난 14일 제382회 임시회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소관 기관인 AI국과 국제협력국의 주요 사업계획을 점검했다. 위원회는 AI 등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다양한 조례안을 심사·의결하면서 본격적인 상임위 활동을 알렸다.


미래위 위원들은 이날 AI 통합데이터센터, 공공데이터 개방 활용, 정보 보안 정책, 경기도 수출지원 전략 등 인공지능과 국제협력 정책이 경기도의 산업 및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며, 도민들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날 의결된 조례안은 △경기도 인공지능 제조 혁신 지원 조례안(전석훈 의원) △경기도 딥페이크 대응 기술 개발 및 보급 지원 조례안·△경기도 디지털 전환 촉진에 관한 기본조례 전부개정조례안(윤충식 의원) △경기도 사이버보안에 관한 조례안(김태형 의원) △경기도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 및 지원 조례안(김철진 의원) △경기도 정보취약계층 정보화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석균 의원) △경기 AI+X 아카데미 운영 사무의 위탁 동의안(경기도지사) 등 7개다.


각 조례안은 AI 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 지원, 딥페이크 범죄 대응 기술 강화 제도적 기반 마련, 사이버보안 체계 정비, 디지털 전환 촉진 통한 산업 혁신 가속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제영 위원장은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중소기업의 피해를 정확히 진단하고, FTA통상진흥센터와 협력해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집행부는 직접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유관기관 등과 소통해 실질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계획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여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기 추경을 통해 중소기업에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하며 "필요시 미래위 위원들도 동참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