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화장품 올 1분기 수출 규모가 역대 최대 수출액을 기록한 지난해 1분기보다 13.0% 증가한 26억 달러(잠정)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두 번째 수출액을 기록한 2021년 1분기 수출액 22억 달러보다 18.2% 늘어난 것으로 1분기 수출 사상 최대 실적이다.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월별의 경우 1월 수출은 설 연휴에 따른 휴일로 전년 동기보다 5.6% 감소한 7억5000만 달러다. 2월, 3월 수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각각 23.7%, 24.4% 증가한 8억9000만 달러, 9만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올 1분기 수출액이 가장 컸던 국가는 중국이 5억2000만 달러(전체 수출액의 20.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 4억4000만 달러(전체 수출액의 16.9%), 일본 2억7000만 달러(전체 수출액의 10.4%)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수출 1위를 유지했으나 전년 동기보다 9000만 달러(-15.3%) 감소하면서 1분기 대(對) 중국 수출 비중은 지난해에 이어 20%대를 기록했다.
미국으로의 수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0.6억 달러(14.2%) 증가하면서 올 1분기 수출액의 16.9%를 차지했다. 일본은 3000만 달러(11.9%) 늘어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액이 모두 10% 이상 증가했다.
2024년 미국 내 화장품 수입액은 우리나라가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일본 내 화장품 수입액도 우리나라가 1위, 프랑스가 2위를 기록했다.
제품 유형별 수출액은 기초화장품 19억5000만 달러(2억5000만 달러, 14.6%), 색조화장품 3억6000만 달러(5000만 달러, 15.6%), 인체세정용품 1억2000만 달러(2000만 달러, 21.7%) 순으로, 인체세정용품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식약처는 우리 화장품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과 규제 외교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동남아 시장 확대를 위해 필리핀 식약청과 화장품 분야 규제 협력을 강화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는 기존 주요 수출국인 중국, 미국 등 대한 최신 규제 정보와 함께 중동, 남미 등 수출 전망이 높은 신흥 시장에 대한 정보 등을 ‘화장품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도 제공해 해외 진출에 관심이 있는 화장품 업계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