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인천시, 면적 2.4㎢ 증가 … 경제적 가치 약 2조 3000억 원 늘어


입력 2025.04.07 08:30 수정 2025.04.07 08:30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2025년 지적통계… 토지개발 사업 등으로 토지 면적 크게 증가

전국 특·광역시별 면적 및 지번 현황 ⓒ인천시 제공

천의 총 면적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2.4㎢ 증가, 약 2조 3000억 원의 경제적 가치 증가로 집계됐다.


인천시는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지적통계 따르면 연수구 송도동 인천경제자유구역 11-2공구(1.5㎢)와 10공구 항만배후단지(0.9㎢)의 매립준공 등으로 전체 면적이 1069.5㎢(66만 9028필지)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지적(地籍)통계는 국토교통부에서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시·군·구)별, 지목(토지의 종류)별, 소유(개인, 국·공유지 등)별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 매년 공표하는 통계다.


지난 1970년 최초 작성된 후 1982년 11월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됐다.


1970년 최초 지적통계 작성 당시 인천의 면적은 189.1㎢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공유수면 매립과 행정구역 편입을 통해 확장됐다.


올해 지적통계 기준으로 특·광역시 중 대구시(1499.5㎢, 지난 2023년 군위군 편입으로 면적 증가)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1069.5㎢로 증가했다. 이는 초기 대비 5.6배 성장한 수치다.


인천시의 주요 토지이용 분포를 살펴보면 임야가 36.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답(14.3%), 대(11.2%)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임야)과 농경지(전ㆍ답ㆍ과수원)가 전체 면적의 약 57.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한 해 동안의 토지이용 변화는 잡종지, 임야, 답의 면적이 2.5㎢(-0.5%) 감소한 반면, 생활기반시설(대)이 2.2㎢(2%), 휴양·여가시설(공원, 유원지)이 1.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토지이용 변화도 전, 답, 임야의 면적이 각각 7.4%, 11.5%, 3.4% 감소한 반면, 대지, 도로, 공원 면적은 각각 17.8%, 16.1%, 87.8% 증가했다.


이는 인천시가 시민들의 쾌적한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해 교통 및 휴양·여가시설 등의 확충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가 지적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토지 소유권 현황을 살펴보면, 개인이 52.4%, 국·공유지가 26.6%, 법인이 19.1%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개인 소유 면적은 3.6% 감소했으며, 반면 국·공유지와 법인 소유 면적은 각각 11.7%,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적통계는 인천의 면적과 토지 이용 현황 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며 “ 앞으로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지도, 사진, 설명을 담은 지도 서비스와 연계한 콘텐츠로 제작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