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美 상호관세 폭탄] 베센트 재무 “70개국 관세협상 희망…日 우선 순위”


입력 2025.04.08 12:05 수정 2025.04.08 12:54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스콧 베센트(왼쪽)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2월3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 서명을 준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을 경청하고 있다. ⓒ AP/뉴시스

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부과에 나선 이후 약 70개국이 미국과 협상을 위해 접촉해왔다고 밝혔다.


미 폭스 비즈니스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관세 문제와 관련해 “우리에게 접근해온 나라가 지금 50~60개국, 아마도 거의 70개국에 이른다”며 “(각국과 협상하느라)바쁜 4~5월이 될 것이며, 아마 6월까지도 바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매우 빨리 나섰기 때문에 일본이 (협상의)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양국은 장관급 후속 협의를 진행키로 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어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한도의 협상 지렛대를 가질 것”이라며 “그는 최대 한도의 지렛대를 확보했을 때 기꺼이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베센트 장관의 인터뷰 영상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 소셜 계정에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도입한 데 이어 5일부터 전세계 교역 상대국에 10%의 기본 관세(보편 관세)를 부과하는 등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특히 9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60여개국에 대해 기본관세율(10%) 이상인 상호관세로 기본관세를 대체한다. 한국은 25%, 중국은 34%, 일본은 24% 관세율이 각각 적용된다.


이에 중국이 지난 4일 미국의 대중국 상호관세율과 동일한 34%의 ‘보복관세’로 맞불을 놓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이 맞불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오는 9일부터 중국에 5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부과한 기존 20% 관세에 더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여기에다 추가 50% 관세가 더해지면 미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은 104%의 관세를 물게 된다.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