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검역본부, 2017년 동물의 등록·유기동물관리 등 실태조사 결과 발표
농림축산검역본부, 2017년 동물의 등록·유기동물관리 등 실태조사 결과 발표
지난해 말 기준 신규 동물등록이 10만2600마리로 집계돼, 2014년 동물등록 의무화 이래 총 117만5500마리가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동물등록 중 개는 10만4809마리로 전년도에 대비 14.5% 늘었으며, 등록형태는 내장형(67.5%), 외장형(25.8%), 인식표(6.7%) 순으로 내장형 무선식별장치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8일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공개)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동물의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동물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동물복지농장 인증 및 동물관련 영업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다.
동물등록 증가세에 이어 지난 한 해 동안 구조된 유실·유기동물도 늘어났다. 10만2593마리가 지자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구조됐고, 이는 전년대비 14.3% 증가한 수치다.
구조된 동물 종류별로는 개가 74만3000마리(72.5%), 고양이가 27만1000마리(26.4%), 기타 1만2000마리(1.1%) 순이었다.
동물보호센터에 입소된 유실·유기동물의 보호형태는 분양(30.2%), 자연사(27.1%), 안락사(20.2%), 소유주 인도(14.5%) 순이었으며, 전년에 비해 소유주 인도․분양 비율이 소폭 하락했다. 동물보호센터는 293곳으로 전년대비 12곳(4.2%) 증가했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동물보호센터는 광역화·대형화 되고 시・군에서 직접 관리하는 직영 또는 시설 위탁형 동물보호센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년 유실·유기 동물 구조·보호 및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155억5000만원으로 전년대비 40억7000만원(35.5%) 늘어났다.
길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중성화(TNR) 지원사업에는 지난해 3만8059마리의 중성화 사업을 추진해 47억9600만원이 소요됐으며, 대상 길고양이 수는 전년 대비 4746마리(12.5%), 비용은 5억2700만원(10.5%)이 증가됐다.
동물실험에는 총 308만2000마리가 사용됐다.
이는 전년에 비해 약 20만3000마리(7.1%)가 늘어난 수치로, 사용 마리수가 가장 많은 동물종은 설치류(283만4000마리, 91.9%)였고, 어류(10만2000마리), 조류(7만2000마리), 토끼(3만6000마리), 기타포유류(3만3000마리) 등의 순으로 사용됐다.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설치기관은 384곳이었으며 지난해 2905회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가 개최됐다.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은 총 145개로 늘어났다. 지난해 7개 축종에 대한 인증기준을 마련해 31개 농가가 신규로 인증을 받아 전년 대비 27.2%가 증가했다.
축종별로는 산란계 95농가(128만500마리), 양돈 12농가(3만4100마리), 육계 30농가(229만4500마리), 젖소 8농가(1194마리)가 참여하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업체로는 총 4592개의 동물판매․생산․수입․장묘업체가 신고·등록됐으며, 종사자수는 6063명으로 조사됐다.
등록된 동물판매업체는 전년대비 5.6% 증가한 3991곳이었으며, 판매하는 동물은 주로 개(60.0%), 햄스터(27.6%), 고양이(8.3%)로 조사됐고, 종사자 수는 5106명이었다.
신고된 동물생산업체는 545곳, 종사자는 788명으로 파악됐으며, 등록된 동물수입업체는 30곳으로 종사자는 44명으로 조사됐다. 동물장묘업체는 전년대비 6곳 증가한 26곳이었으며 종사자수는 125명으로 집계됐다.
검역본부 문운경 동물보호과장은 “유기․유실동물 예방을 위한 동물등록제 활성화, 유기동물 보호․관리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며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