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선, 부천판타스틱영화제 배우상 수상
사회 고발영화로써 충실한 연출
하루가 멀다하고 친부모에게 학대 받는 아이들의 안타까운 소식이 사회 뉴스면을 장식하고 있는 지금, 부모가 자신에게 가장 위험한 존재가 되어버린 아이들의 슬픈 '고백'이 시작된다. 영화 '고백'은 사회로부터 보호받지 받지 못하는 아동학대 문제를 똑바로 바라보며 걸어나간다.
'고백'은 익명의 유괴범이 국민 1인당 1000원씩 모금해 1억원을 요구하는 편지가 도착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순간을 시작으로 선택했다. 가장 중요한 단서는 이 모금 계좌가 한 아동복지재단의 후원계좌라는 점이다. 경찰 지원(하윤경 분)은 유괴범의 편지가 배달된 시점에 사라진 보라(김수현 분)와 사망한 채 발견된 보라 아버지를 연관시키며 해당 아동복지재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오순을 의심한다.
어린시절 아버지로부터 학대를 받은 트라우마를 가진 채 성장한 오순(박하선 분)은 사회복지사다. 학대 받는 아이들을 위해 누구보다 열심히 발로 뛰는 인물이다. 하지만 감정을 주체하지 못해 학부모들과 충돌, 경찰서까지 연행된 이력이 있다.
그런 오순이 눈 여겨 돌보고 있던 아이 보라(김소현)는 "여자가 많이 배워봤자 쓸모가 없다"는 아버지로 인해 학교에 장기 결석을 하는가 하면 몸에 상처를 안고 등교하기도 한다.
아동학대를 받은 아이가 자존감이 떨어지고 위축되며 어떻게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는지 점층적으로 보여준다. 또 보라의 사정을 짐작하고 있는 담임 선생님은 오순에게 "다른 아이들과는 다르다. 보라는 조금 섬뜩할 때가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사회가 학대 아동의 선입견을 씌우고 있지는 않는지 돌아보게 만든다.
영화는 장르적 긴장감을 위한 범죄물과 캐릭터의 내면의 아픔을 조명하기 위해 드라마 형식을 교차로 사용했다. 자신이 학대를 당했던 과거보다 조금 더 나아진 오늘을 바라고 고군부투하지만 여전히 달라진 것 없는 현실에 분노하는 오순의 모습, "사랑의 매"라며 아동학대를 서슴치 않는 부모의 행태가 대조적으로 그려진다.
영화는 중, 후반부 익명의 편지를 보낸 의도, 글씨체 등을 통해 유괴범을 찾아나서는 과정이 긴장감있게 연결됐다. 보라를 구하겠다는 일념에 매몰된 오순의 선택은 과연 보라를 위한 것이었나 반문하게 만들기도 한다. 편견과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려 애쓴 오순이 한 순간에 함정에 빠지는 순간이다.
'고백'은 유독 배우들의 클로즈업 장면이 자주 연출해 내면의 불안한 심리나 분노 등을 세밀하게 전달했다. 또 전체적으로 어두운 모노톤의 색감을 사용한 서은영 감독의 연출이 영화의 투박하고 암울한 분위기를 배가시켰다. 학대하는 부모, 아이들 구하고자 하는 오순을 바라보며 우리는 어느 편에 서 있을까. 방관하는 자들까지 따끔하게 만든다. 24일 개봉. 러닝타임 99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