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영업 어려워져" 불만 토로
저축은행업계가 신용대출 한도를 개인별 연봉 수준으로 제한한다. 금융당국이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를 제한하라고 압박한 결과다. 업계에서는 향후 대출 영업 확대가 어려워졌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23일부터 회원사에 가계대출 한도를 연봉 이내로 제한해달라고 당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시중은행권에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축소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은행권 대출 수요가 이전돼 풍선효과가 나타난 저축은행업계에도 대출 한도를 같은 수준으로 조절해달라고 요청했다.
금감원은 지난 5월에도 각 저축은행에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지난해와 같은 21.1% 수준으로 묶어줄 것을 요구했다. 특히 중금리 대출과 정책금융 상품(햇살론·사잇돌)을 제외한 고금리 가계대출 증가율은 5.4%로 관리하라고 강조했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달 법정 최고금리가 24%에서 20%로 인하되면서 연 16∼18%대 중금리대출 시장 선점을 위해 대출 영업을 강화해왔다.
아울러 자영업자와 중·저신용자의 대출 수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크게 늘면서 올해 저축은행 가계대출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가계가 저축은행에 진 빚이 올해 2분기에만 2조5000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저축은행업계에서는 대출 한도를 줄이게 되면 영업환경이 악화되고 수익성까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총량규제 지침이 내려오기 직전까지 대출을 많이 끌어당긴 저축은행이 연간 증가율을 맞추려면 영업을 제한적으로 줄여야 해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는 금리 인하, 한도 축소 등의 영향으로 적극적인 영업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매월 상환된 만큼만 추가 여신을 내줄 수 있을 정도로 제한적인 영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