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 “노조 복귀한다더니 정상화 거부...명백한 합의 위반”


입력 2022.03.07 13:21 수정 2022.03.07 17:30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택배노조, 긴급지침 통해 ‘태업 지속’ 선언…대리점별 복귀 협의 중단

지난 3일 오후 서울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택배노조와 대리점연합회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연합뉴스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은 “파업으로 국민에게 피해를 입혀 죄송하다고 사과까지 한 택배노조가 현장 복귀 과정에서 갑자기 돌변해 서비스 정상화를 거부하고 있다”며 “택배노조의 황당한 돌변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대리점연합은 7일 입장 보도자료를 통해 “택배노조가 지난 4일 긴급지침을 통해 파업은 중단하지만 태업은 계속하겠다는 내용의 긴급지침을 조합원들에게 하달했다”며 택배노조 지침에 따라 현재 강성 조합원이 밀집된 경기도 성남과 광주, 울산, 경남 창원, 강원 춘천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개별 대리점과 노조원 사이의 복귀 논의가 중단된 상태라 설명했다.


앞서 대리점연합과 택배노조가 지난 2일 서명한 공동합의문 2항에는 “모든 조합원은 서비스 정상화에 적극 참여하고, 합법적 대체배송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다.


대리점연합은 “태업은 서비스 정상화가 아닌 서비스 차질이며 명백한 공동합의문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동안 현장에서 노조가 진행해 온 태업 형태는 ▲오전에 임의로 배송을 출발해 이후 도착하는 고객 상품은 다음날 배송하는 도착상품 지연인수 ▲임의로 정한 일부 상품의 배송거부 ▲토요일 배송해야 할 상품을 월요일에 배송하는 토요배송거부 등이 있다.


대리점연합은 “대국민 사과까지 했던 노조 지도부가 손바닥 뒤집듯 합의를 뒤집어 90.4%의 찬성표를 던졌던 조합원들조차 당황하는 분위기”라며 “파국이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택배노조 지도부에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덧붙였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지난 3일 “파업의 원인이 어디에 있든 노조 파업으로 국민과 중·소상공인분들이 피해를 입어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계약업체가 이탈하면서 손해가 컸던 대리점장들에게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힌 바 있다.


대리점연합은 “합의문 협상 때 그렇게 적극적이던 지도부는 어디로 사라졌는지 의문”이라며 “논의할 땐 별말 없다가 나중에 딴소리를 하는 것은 지난해 11월 국토부-대리점연합-노조간 부속합의서 협의 당시와 똑같다”며 비판했다.


이어 “태업을 지속하는 것이 서비스 정상화라고 하면 어떤 고객이 우리를 믿고 배송을 맡기겠느냐”며 “‘서비스 정상화’는 그동안 불편과 심려를 끼친 고객과 택배종사자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의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택배노조에서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대리점 입장에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해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택배노조는 대리점들이 부속 합의서가 포함된 표준계약서에 대해 서명을 요구하면서 노조원들의 현장 복귀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택배노조 측은 "대리점에서 쟁의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쓰라고 하거나 표준계약서를 아예 쓰지 말자고 하고 있다"며 “공동합의문의 이행과 조합원들의 현장 복귀, 서비스 정상화는 좌초될 위기”라고 반박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