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인력, 발역체크·학교 소독·신속항원검사키트 소분 등 담당
보건교사 없는 학교에 기간제 등 정원 외 보건교사 1302명 채용
대학·전문대학의 간호·보건계열 학생, 학교방역 인력 채용 추진
학교 확진자 발생시 진단검사 방법 등 결정하는 긴급대응팀 편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최근 학교 현장 종사자들의 확진이 급증해 대체인력 구인난이 심각한 가운데 교육부가 방역인력 6만여명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7일 1학기 학교전담 방역인력 6만1000여명을 채용했다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새 학기 학교 방역 인력으로 목표 인원 7만6696명의 87.3%인 6만1685명이 채용됐다. 나머지 인원에 대해서는 이번 달 중으로 채용을 마칠 계획이다.
학교 전담 방역 인력은 발열 체크, 출입자 관리, 학교시설 소독, 신속항원검사 키트 소분 작업 지원 등을 하게 된다. 교육부는 보건교사가 없는 학교나 과대 학교에 기간제 등 정원 외 보건교사 1303명과 보건교사 지원인력 1801명도 채용한다.
이 밖에 대학·전문대학과 함께 지역 대학·전문대학의 간호·보건계열 학생을 유·초·중·고 방역 인력으로 채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오는 11일까지 학교 현장의 수요조사를 마치고 이 결과와 연계해 시도교육청과 지역 대학의 간호·보건계열 학생을 매칭할 예정이다. 전담 방역 인력으로 활동한 대학생에게는 사회봉사점수를 주고 대학별 사회봉사과목 학점으로 인정하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교사가 코로나19에 확진에 대비해 이번 달 중으로 과밀학교와 과밀학급에 기간제교사 총 8900명을 채용해 배치하기로 했다. 또 퇴직 교원, 임용 대기자 등 교사 대체 인력풀을 전국 7만5000명 규모로 마련했다. 인력 풀을 마련했으나 현장에서는 교사가 확진돼도 대체 인력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나오는 데 대해 교육부는 "수급불균형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간제 교원이 필요한 것과 해당 교원이 거주하는 지역이 달라서 수급불균형이 생겨서 발생하는 문제"라며 "교육지원청에서 아예 기간제 교원을 배치해두고 긴급한 수요가 있으면 보내드리는 곳도 있지만, 수요가 많은 서울·경기는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 대체 인력의 경우 교원자격증이 없는 강사도 학교 수업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지만, 일부 교원단체에서 반대해 강사로 대체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학교 방역과 학사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과 함께 구성한 '새 학기 오미크론 대응 비상 점검·지원단을 가동했다. 학교 자체적으로 이뤄지는 접촉자 조사 등을 지원하기 위해 각 시도교육청은 퇴직 보건교사와 방역전문가 등 총 1364명의 긴급대응팀을 편성했다.
긴급대응팀은 팀당 4명 내외로 구성되며 시도교육청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확진자 발생 시 이동검체팀 방문 대상 학교를 결정하고 대상 학교의 진단 검사 방법을 결정하는 역할 등을 한다.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지역 내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모니터링하거나 학교 코로나19 대응 담당자 연수, 학교 코로나19 대응 방법 안내·홍보 등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