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2628억원, 영업익 1712억원…각각 9.0%, 13.4%↓
면세· 아시아 지역 부진도…국내 온라인·북미 지역은 판매 호조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중국 봉쇄 여파 등으로 인해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익이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 1분기 1조2628억원의 매출과 171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0%, 영업이익은 13.4% 떨어진 수준이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동기 대비 7.0% 하락한 1조1650억원의 매출을 시현했다. 영업이익은 1580억원으로 10.4% 줄었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과 해외 사업 모두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국내 사업 매출액은 9.9% 감소한 7328억원, 영업이익은 10.6% 하락한 112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사업은 4199억원으로 6.1% 하락했고 영업이익도 421억원으로 19.5% 떨어졌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국내 시장에서는 온라인 매출이 20% 이상 성장했으나 면세 매출 하락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감소했고 마케팅 비용이 확대되며 영업이익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설화수, 헤라 등 럭셔리 브랜드는 주요 신제품 사전 출시 등을 통해 온라인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했지만 면세 채널 매출 하락으로 전체 매출은 감소했다.
해외 시장의 경우 코로나19재확산의 여파로 아시아 지역 매출이 감소하며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했다. 그럼에도 북미 시장에서는 설화수와 라네즈 등 주요 브랜드가 선전하며 63%의 매출 성장을 달성하는 성과도 거뒀다.
주요 자회사들은 온라인 채널에서 성장세를 이어가며 핵심 카테고리의 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이니스프리는 ‘블랙티 유스 인핸싱 앰플’ 및 ‘레티놀 시카 앰플’등을 집중 육성하며 고기능성 제품군을 강화지만 면세 채널의 매출 하락으로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은 하락했다.
에뛰드도 인플루언서 협업 제품 출시 등 핵심 카테고리에서 경쟁력을 높였지만 로드샵 매장 감소와 면세 매출 축소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다만 에스쁘아는 페이스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신제품을 중심으로 멀티브랜드숍과 온라인에서 선전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확대됐다. 특히 일본 역직구 시장에서 높은 성장을 이뤄내며 해외 사업도 확장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올 1분기 코로나19 재확산 등 불안정한 국내외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온라인 채널에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혁신적인 신제품을 선보이며 경쟁력 확보에 주력했다"며 "Winning Together의 경영 방침 아래 강한 브랜드, 디지털 대전환, 사업 체질 혁신의 3대 추진 전략을 실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업 체질 혁신을 목표로 데이터 기반의 재고관리 최적화 및 공감 기반의ESG경영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