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尹정부, 재계 기상도-⑧] '악천후' 극복…조원태, 날아오를 일만 남았다


입력 2022.05.02 06:00 수정 2022.04.28 21:23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文정부 '재벌개혁' 기조서 경영권 박탈 수모

경영권 공격·코로나 위기 극복하고 볕 뜬다

UAM 도전장 낸 한진, 尹정부와 '느슨한' 동행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한진그룹

5월 10일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함께 재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 전망이다. 이전 정부에 비해 전반적인 기업 경영여건은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기업별로 주력 업종과 새 정부 정책기조와의 연계성, 총수의 성향 등에 따라 상황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정부 출범을 계기로 주요 대기업 집단별 기상도를 그려본다.[편집자 주]


'재벌개혁'의 깃발을 들었던 문재인 정부에서 한진그룹은 '오락가락'한 날씨를 견뎌야 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업계의 어려움이 더해지며 사실상 '악천후'를 겪었지만, 어려운 시기는 지나갔다.


코로나19 위기로부터의 일상 회복과 새 먹거리 발굴이라는 과제를 짊어진 조원태 회장의 한진은 윤석열 정부와 '느슨한 동행'을 이어가며 다시 날아오를 준비를 하고 있다.


한진그룹은 고(故) 조양호 회장이 세상을 떠난 지난 2019년을 전후로 크게 고초를 겪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1월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 행사를 강조한 이후 처음으로 그 본보기가 되는 불명예를 안았기 때문이다.


2014년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회항'을 시작으로 총수 일가가 각종 논란에 휘말리며 국민들의 눈 밖에 났던 한진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 결국 칼을 맞았다.


국민연금이 2019년 3월 27일, 대한항공 주주총회에서 스튜어드십 코드를 발동해 조양호 회장의 연임을 막은 것이다. 재벌에 대한 서슬퍼런 감시 분위기가 가득하던 때, 연기금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발동한 첫 사례로 남았다. 문재인 정부가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를 적극 독려한 데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많았다.


경영권을 상실한 조 회장은 다음달 8일 아침 별세했다. 당시 야권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연금사회주의가 조양호 회장을 죽였다'고 비평했다. 조 회장의 경영권 박탈이 기업가치 훼손이나 주주권 침해보다는 한진그룹 총수 일가의 '비행(非行)'으로 인한 여론 재판의 성격이 더 강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한진그룹은 문재인 정부의 '최대 수혜자'라는 타이틀도 동시에 얻었다. 문재인 정부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조 회장의 손을 들어주며 결정적인 도움을 줬기 때문이다.


조원태 회장은 선친 장례식을 마친 뒤 8일 만에 한진그룹의 지주회사인 한진칼의 대표이사 회장 자리에 올랐다. 경영권 분쟁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지난 2020년 사모펀드 KCGI 산하 그이스홀딩스, 반도건설과 '3자연합'을 꾸리고 조 회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3자연합의 한진칼 보유지분은 40.39%에 달해 조 회장측 36.66%를 앞섰다. 그러나 10.66%를 보유한 산업은행이 2020년 주주총회에서 조원태회장 손을 들어줘 조 회장 측 승리로 끝났다. 문 정부가 산업은행을 통해 관여해 조 회장의 편을 들어준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재벌 특혜'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대한항공 보잉 787-9 (자료사진) ⓒ대한항공

윤석열 새 정부 하에서의 한진그룹은 정부와 '느슨한 동행'을 하며 순항할 것으로 보인다. 한진그룹 내부적으로는 '조원태 체제'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았고, 외부적으로도 새 정부 출범 이후 기업 경영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시급한 과제인 '코로나로부터의 일상 회복'은 윤석열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서서히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적인 코로나19 관련 방역 규제 완화에도 고삐를 바짝 쥐고 있던 현 정부의 태도는 지난 3·9 대선 이후 달라졌다. 국토부는 지난달 6일, 5월부터 국제선 정기편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조 회장은 최근 이와 관련 "한국의 코로나19 방연 완화가 너무 느리게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달 19일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이스(FT)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3개월 동안의 예약이 꽉 찼지만, 승객 수 제한으로 항공편을 증편할 수 없다"며 "80% 또는 90%의 승객을 받아야 하지만 현재는 25%이고, 더 많은 항공권도 판매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한국으로 입국하는 모든 승객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의무화한 것은 '난센스'"라며 현 정부의 태도를 강하게 질타했다.


규제산업의 대표격인 항공업계의 수장이 정부 정책에 이같이 강한 목소리를 낸 것은 출범을 앞둔 새 정부를 향한 당부로도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코로나19 정책과 관련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수차례 강조했던 만큼, 허심탄회하게 항공업계의 목소리를 전달한 것 아니겠느냐는 해석이다.


지난해 10월 대한항공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개최된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1)에 참가했다.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미래먹거리' 사업으로 도심항공모빌리티(UAM)에 도전장을 낸 것도 '항공우주청' 설립이라는 공약을 낸 윤 정부와는 합이 맞는 부분이다. 내달 출범하는 윤 정부는 미래 모빌리티를 국정과제로 삼고 UAM을 상용화하겠다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왕윤종 인수위원은 지난달 25일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에서 한 브리핑에서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실현하는 핵심축으로서 모빌리티를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키운다"며 2025년 UAM 상용화를 국정과제로 반영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윤 정부는 UAM 이착륙장, 수도권 시범공역, 관제시스템 등 인프라도 구축할 예정이다.


대한항공 역시 항공우주사업을 여객사업과 화물사업을 이을 미래먹거리로 보고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무인기 부문은 사단정찰용 무인기 양산 납품을 완료했고, 신규 모델인 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중고도 무인정찰기는 현재 양산 제작을 준비중에 있으며, 하이브리드 드론의 공공·민수시장 진출도 확대하고 있다. 한진그룹은 향후 우주산업 관련 정부 과제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는 입장이다.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