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성장률 3.0%·물가 1.7% 제시
우크라이나 사태·중국 도시 봉쇄·美 긴축 원인
이달 26일 한국은행·6월 정부 경제정책방향 ‘관심’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국책연구원인 KDI가 경제성장률 수정치를 처음으로 발표한다. KDI는 지난해 연말 경제성장률 3.0%,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7%로 전망한 바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 주요 도시 봉쇄, 미국 통화 긴축 정책 등 대내외 상황이 악화되면서 이번 경제 전망에서 2%대 초반 성장률, 4%대 초반 물가상승률이 제시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6일 KDI와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KDI는 오는 17일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수정발표는 앞서 지난해 11월 올해 경제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발표한 이후 6개월 만이다.
지난해 11월엔 경제성장률 3.0%, 소비자물가 상승률 1.7%를 제시하면서 내년엔 내수가 본격적으로 회복 될 것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그러나 올해들어 대내외적으로 경제상황이 급변하면서 제시했던 수치가 대폭 수정될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우선,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면서 원유·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다. 이는 원유 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에 큰 타격이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수급 불균형까지 발생하면서 소비자물가도 크게 오를 전망이다.
아울러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는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도시를 봉쇄하는 등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상하이는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등 우리나라 핵심 사업 수출입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중국 정부는 6월 초부터 봉쇄를 순차적으로 풀겠다고 했지만 당분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의 긴축으로 인한 금리 상승에 따른 경기 위축도 큰 부담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지난 5일 기준금리를 50bp(bp=0.01%) 즉 0.5%포인트(p) 인상하면서 ‘빅스텝’을 단행했다. 게다가 국채 300억 달러, 주택저당증권 175억 달러를 매각하고 이 규모를 950억 달러까지 늘리기로 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다음 두 번의 회의에서 0.5%p 인상을 논의하겠다면서 이후 추가 금리 인상까지 예고한 상황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만지작 거리는 중이다. 아직 명확히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발언하진 않았지만, 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만약 한국은행이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미국 연준이 6월 빅스텝을 단행한다면 한·미 금리가 1.50%로 동일해진다. 자칫 금리역전 상황에 놓인다면 자본이 빠르게 빠져 나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같은 대내외 경제 상황을 종합해보면 물가는 치솟고 성장률은 떨어지는 ‘스태그플레이션’의 기조 속에 2%대 초반 성장률이 제시될 수도 있다는 시장의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게다가 최근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4.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KDI가 4%대 초반 물가를 제시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졌다.
한편 17일 KDI 전망치가 발표된 이후 26일 한국은행, 6월엔 윤석열 정부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수정된 전망을 내놓을 예정이어서 이후 경제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 추이에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