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코로나 이후 끼니 거르는 사람 늘었다'…점심 결식률 1년새 31% 증가


입력 2022.06.12 06:35 수정 2022.06.10 18:36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혼밥·집밥 대폭 증가…배달식 포함해도 외식 이용↓

에너지 섭취량 소폭 감소, 과일·야채 섭취량도 줄어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 시민들이 점심 식사를 하고 있다.ⓒ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후 끼니를 거르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점식 식사의 경우 결식률이 1년새 31.3%나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의 주간 '건강과 질병' 최신호에 실린 '우리 국민의 식생활 현황'에 따르면 2019년과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유행 초기인 2020년 '조사 하루 전날 아침과 점심, 저녁 식사를 거른 사람의 비율'(결식률)은 각각 34.6%, 10.5%, 6.4%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의 31.3%, 8.0%, 5.5%보다 각각 3.3%p, 2.5%p, 0,9%p 높아진 것이다.


아침 식사의 경우 결식률이 이전에도 상승 추세에 있긴 했지만 큰 폭으로 뛰었다. 점심 식사는 이전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2020년 들어 결식률이 1년새 31.3%나 늘어났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유행 후 아침 식사와 저녁 식사 결식률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등교, 출근 제한 등이 불규칙한 식사에 일부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아침, 점심, 저녁 식사 때 '혼밥'을 하는 비중 역시 늘었다. 아침은 2019년 41.6%에서 2020년 42.5%로, 점심은 23.0%에서 26.5%로, 저녁은 17.9%에서 19.4%로 증가했다.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 시민들이 점심 식사를 하고 있다.ⓒ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코로나19로 배달음식 이용이 늘었지만, 외출해서 식사하는 경우가 줄어들면서 배달음식 이용이 포함된 '외식' 비율은 오히려 감소했다. 배달·포장 음식을 하루 1회 이상 섭취한 사람의 비율은 2019년 15.4%에서 2020년 18.7%로 증가했지만, 하루 1회 이상 외식(배달·포장음식 포함)을 한 사람의 비율은 2019년 33.3%에서 2020년 28.0%로 5.3%p 감소했다.


집에서 요리해서 식사를 하는 '집밥'(가정식)을 하루 1회 이상 섭취한 비율은 78.7%에서 79.5%로 늘었다.


하루 에너지 섭취량은 2019년 1943.7㎉에서 2020년 1894.8㎉로 소폭 줄었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주요 식품군 중에서는 채소류(252.6g→244.6g)와 과일류(135.0g→120.8g)의 하루 섭취량이 줄었다.


보고서는 "지속적인 식습관 변화는 식품 및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로 인해 건강 상태의 변화까지 일으킬 수 있다"며 "비대면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의 영양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하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