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말 기준 매출·고정비 손실만 2800여억원 넘어
대우조선해양이 하청노조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촉구했다. 최근 불법점거에 나선 하청노조가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향후 조선 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만든다는 주장이다.
박두선 사장은 7일 기자회견을 열고 하청노조의 모든 불법행위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는 임금 30%인상 요구를 하청업체가 받아들이지 않자 지난달 22일부터 초대형 원유 운반선을 점거하며 농성에 돌입했다. 이 행위로 예정된 선박 진수 작업이 중단됐다.
박 사장은 “진수 지연은 하루에 매출 감소 260여억원, 고정비 손실 60여억 원을 발생시키고 6월 말 기준 매출과 고정비 손실만 2800여억원이 넘었다”며 “인도 일정 미준수로 인한 지체보상금(LD)까지 감안하면 공정 지연 영향 금액은 더 커질 것”고 지적했다.
특히 조선소의 심장인 도크가 폐쇄됨에 따라 사내 직영 및 협력사 2만명, 사외 생산협력사 및 기자재 협력사에 소속된 8만명 등 총 10만 여명의 생계 또한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됐다고 강조했다.
박두선 사장은 “어제 공종별 부하에 따라 O/T와 특근 조정, 야간작업 중단 등의 생산 일정 조정을 발표했으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주간 근무시간 축소도 불가피해 보인다”며 “임원들은 24시간 비상 체제를 가동하며 현 위기 해소에 앞장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오랜만에 찾아온 조선 호황,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 및 국가 경제 활성화 기여 등의 기회가 일부 계층의 생산 중단 등 불법 파업으로 물거품이 되지 않도록 2만명 구성원의 절박한 심정을 담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