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1년 생명표’ 발표
남녀 기대수명 격차 6.0년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83.6년으로 조사됐다. 2020년보다 0.1년 늘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영향으로 기대수명 증가 폭은 역대 두 번째로 작았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1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기대수명은 전년보다 0.1년 늘어난 83.6년이다.
생명표는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특정 연령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기대여명을 추정한 통계표다. 최근 사망신고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기 때문에 코로나19로 사망자가 늘어났다면 기대수명도 영향을 받는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자 기대수명은 80.6년, 여자는 86.6년으로 격차는 6.0년이다. 남녀 기대수명 차이는 1985년 8.6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2021년 60세 남자 기대여명은 23.5년 여성은 28.4년이다.
지난해 태어난 아이가 향후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 63.1%, 여자 81.7%다. 전년 대비 남자는 0.5%p 여자는 0.2%p 늘었다.
지난해 출생아 주요 사인으로 사망 확률은 암이 20.1%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심장질환 11.0%, 뇌혈관 질환 7.2% 순으로 나타났다. 암이 제거된다면 기대수명은 남녀 모두 2.5년 늘어나게 된다.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OECD 평균보다 남자는 2.9년, 여자는 3.5년 높다.
통계청 노형준 인구동향과장은 “(기대수명) 증가 폭이 작아진 주요 원인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위험요인이 2020년보다 2021년에 작용한 면이 있었다”며 “그로 인해 기대여명의 증가 폭이 좀 줄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