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와 맥주 가격이 지난해 이어 올해도 오를 것으로 보인다. 세금이 크게 오른 데다 원재료 가격과 물류비용도 인상돼 기업 부담이 커지고 있어서다.
주류 기업들이 출고가를 높이면 음식점과 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소주 1병의 가격은 6000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지난해보다 L당 30.5원 오른 885.7원이 된다. 지난해 L당 2.08원 오른 데 이어 세금 인상 폭이 더 커졌다. 맥주에 붙는 세금은 통상 주류 기업의 출고가 인상으로 이어진다.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전기료 등이 오르는 점도 맥주의 출고가 인상 요인이 될 공산이 크다.
소주는 맥주처럼 세금이 오른 것은 아니지만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소주를 만들 때 필요한 주정(에탄올)을 유통하는 국내 기업이 가격을 크게 올렸다. 업계에 따르면 10여개 기업이 공급하는 주정을 국내 유통하는 대한주정판매가 지난해 10년 만에 주정 가격을 7.8% 인상했다. 제병 업체의 소주병 공급 가격도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20% 넘게 올랐다.
주류 회사들은 지난해 줄줄이 소주 가격을 인상하기도 했다. 하이트진로는 당시 소주 제품인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 등 제품의 출고가를 8%가량 올렸다. 무학은 대표 제품인 '좋은데이'의 가격을 9% 가까이 인상했다. 롯데칠성음료와 오비맥주도 제품 일부의 가격을 7~8% 올려 잡았다.
관련해 주류 가격도 지속해서 오르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1년 전보다 5.7% 상승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 이상 주류 가격이 오른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다. 주류 가격은 2003년 4.7%, 2013년 4.6%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매년 2%가량 인상됐다. 올해 주류 기업들이 출고가를 올리면 주류 가격의 인상 폭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