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에 이어 전북특별자치도의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활동도 본격화되고 있다.
대한체육회의 현장 실사가 이틀(6~7일)에 걸쳐 전라북도 내 4개 시·군에서 진행된다. 실사 첫날인 6일에는 김제 새만금33센터와 군산CC를 방문해 골프 등 올림픽 종목의 국제경기 개최 적합도를 점검한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이날 군산에서 대한체육회 실사단을 상대로 직접 프리젠테이션에도 나선다.
7일에는 전북올림픽 주 무대로 계획된 전주월드컵경기장과 무주 태권도원도 점검한다. 도 체육회장을 비롯해 도내 지방자치단체장들도 전북의 유치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한체육회는 지난달 26~27일에 걸쳐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 희망지인 서울시에 대한 현장실사를 진행했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다음달 말 대한체육회 대의원 총회, 정부 심의 등을 거쳐 국내 후보도시를 선정한다. 이에 선정되면 IOC(국제올림픽위원회)에 유치 의향을 밝히고 본격적인 유치 경쟁 작업에 돌입한다. 해외에서는 인도네시아, 카타르 등 10여개 국가가 유치 경쟁에 뛰어든 상태다.
2월 ‘1차 관문’을 통과해야 IOC에 개최 도전장을 던질 수 있다. IOC가 내년 3월경 2026 하계올림픽 개최지를 선정할 예정인데 전라북도 입장에서는 먼저 서울시와의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
전라북도는 2036 하계올림픽이 가져올 경제적 유발효과를 42조 원으로 추산한다. 관광업, 숙박업, 외식업 등 서비스업 매출 증대와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올림픽 유치는 향후 전북의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인프라 개발은 대회가 끝난 후에도 전북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자산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강원도의 교통 및 관광 인프라의 성장은 이후 국제이벤트를 유치하는 기반이 됐다.
그만큼 절실하지만 1988 올림픽을 치른 ‘수도’ 서울과의 만만치 않은 싸움이 될 전망이다.
전라북도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22년 2월 18일 올림픽 유치의사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재선에 성공하면 올림픽 유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약속대로 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뒤 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다.
전라북도는 서울시보다 늦은 지난해 11월에야 대한체육회에 2036 하계올림픽 유치 신청서를 제출, 더욱 촘촘한 행보를 그려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사전타당성 조사도 실시했는데 개최에 따른 편익이 비용보다 높아 경제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2036 서울올림픽 개최를 위한 총비용 추산금액 5조833억 원은 최근 하계올림픽 개최 비용과 비교했을 때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여기에 서울 외에도 제2의 수도인 부산을 비롯해 인천·경기 등 경기장을 활용한다는 구상도 밝혔는데 이를 놓고 ‘수도권 연대’라는 표현도 나온다.
전라북도는 서울특별시의 ‘수도권 연대’에 맞서 비수도권 연대 카드로 맞불을 놓았다. 광주와 대구·충청권을 묶어 올림픽을 유치하겠다는 구상이다. 수도권 외 지역들의 특성과 문화를 더해 올림픽을 치른다면, 지역균형 발전을 실현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양한 부분을 알릴 수 있다는 생각이다.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지지도가 성공을 좌우할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IOC는 유치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지지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서울은 주민들의 지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 지역민들의 지지도까지 끌어올려야 하는 입장이다. 2월 첫 관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그야말로 달려야 할 때다.
한국이 유치에 성공한다면 두 차례 이상 올림픽 치르는 7번째 국가가 된다. 올림픽에 대한 열기가 과거에 비해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올림픽은 스포츠 이벤트를 넘어 정치-경제-문화적 의미가 크다.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위기를 걱정해야 하는 지역이라면 꼭 유치할 만한 메가 이벤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