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감원,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제재 분리해 ‘투트랙’ 대응


입력 2025.02.04 10:00 수정 2025.02.04 10:00        황현욱 기자 (wook@dailian.co.kr)

동양·ABL생명 자회사 편입 신청에

부당대출에 대한 사안은 별도 구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 전경.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부당대출을 벌인 우리금융지주를 두고 경영실태평가와 제재를 분리시켜 대응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우리금융이 금융위원회에 동양·ABL생명 자회사 편입을 접수한 만큼 우선적으로 다루겠다는 목적에서다.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전날인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2024년 금융지주·은행 주요 검사결과 사전 설명' 백브리핑에서 "지난달 15일 금융위로부터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자회사 편입을 두고 심사 의뢰받았다"며 "보험사 인수 같은 경우 사안이 시급한만큼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우선적으로 발표하는 등 부당대출에 대한 제재와 구분해서 투트랙으로 처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종적으로 우리금융의 자회사 편입여부는 금융위 소관"이라며 "우리(금감원)은 우리 역할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2024년 금융지주·은행을 검사한 결과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의심대출 350억원 이외에 다수 임직원이 관여된 부당대출 380억원을 추가 적발했다고 4일 밝혔다.


박 부원장보는 우리금융의 내부통제 미흡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우리금융의 부당대출 규모가 지난해 파악했던 것과 다르게 늘었다"며 "분명하게 내부통제, 조직문화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된다"고 우려했다.


우리금융 부당대출 금액이 증가한 배경에는 검사 범위를 확대한 결과라고 말했다. 박 부원장보는 "사전 수시 검사 때는 친인척 위주로 검사를 했지만 정기 검사 당시에는 범위를 확대했다"라며 "그 결과 부당대출 규모가 크게 늘어난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부실화 된 금액은 우리은행에서 부실채권으로 분류한 금액"이라며 "한 달이상 연체가 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금감원)가 봤을 때는 해당 대출에 대해 담보가치가 크지 않다고 본다"며 "사실상 많은 금액이 손실처리된 셈"이라고 답했다.


앞서 우리금융의 전체 부당대출 중에서 절반에 가까운 338억원은 이미 부실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 경영진이 취임 후 취급된 부당대출 451억원 중 123억원이 부실화됐다.


박 부원장보는 "이미 적발된 350억원 중 대부분(84.6%)이 부실화된 점을 미루어 볼 때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되고 정상으로 분류된 328억원도 향후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장기간 다수 부당대출이 취급되는 동안 금융지주 차원의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에 대해서 쓴소리도 이어져갔다. 임 회장의 책임이 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현 경영진 책임제를 거론하는 것은 전혀 아니"라면서도 "현 경영진이 취임한 지 1년이 지났음에도 이러한 상황(부당대출)이 벌어지는 것에 대해 고민을 해야 되지 않겠냐라는 부분을 강조하고 싶다"고 에둘러 비판했다.


우리금융 제재를 두고 이복현 금감원장 임기 종료 이후 발표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대해서 박 부원장보는 "경영실태평가 결과는 최대한 빨리 내도록 노력할 계획"이라면서도 "제재 결과는 법률적 이슈가 되거나 쟁점이 되면 유권해석이 필요해 시간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끝으로 박 부원장보는 "과거에도 경평과 제재와 분리 처리한 사례는 굉장히 많다"며 "해당 사안은 별도 분리 처리를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우리금융은 지난달 15일 동양·ABL생명 인수를 위한 자회사 편입 신청서를 금융위에 제출한 바 있다.


금융지주가 다른 금융사의 최대주주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사지배구조법에 따라 자회사 편입 심사를 받아야한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에 따르면 우리금융이 종합평가등급 2등급 이상을 받아야 동양·ABL생명을 자회사로 편입 가능하다.

황현욱 기자 (woo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