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 필요성엔 공감 시기엔 온도차…김동연·강기정 광주시장 만나
김 지사, 대통령은 임기 2년 단축·3년 임기로서 개헌 필요 강조
강 시장, 민주 정부가 국회와 협의해 개헌 하는 것이 순리에 맞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4일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만나 '제7공화국' 탄생을 위한 개헌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하지만 김 지사과 강 시장은 개헌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 개헌 시기에 대해서는 온도차를 나타냈다.
강 시장은 "'광주 길거리 몇 군데에 정치인들이 선 개헌, 후 대선 이런 게 있다. 그래서 저한테도 물어오고 최근에 우리 (김동연)지사님도 7공화국을 통한 대한민국의 새로운 개조 이야기를 하셨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다만 계엄이 있기 전이었다면 우리가 임기 단축 개헌을 포함해서 또 지방자치 30년이 된 올해 개헌을 세게 밀고 가야되겠지만, 지금은 탄핵을 인용시키고 민주 정부를 만들고 그 민주 정부가 국회와 협의해서 개헌을 하는 것이 순리에 맞지 않는가, 저는 이런 생각을 해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지사의 개헌 시기에 대한 생각은 다르다.
김 지사는 "대통령이 이제까지 과거 경험으로 보면 대통령 된 분이 추진해서 개헌이 된 적이 없다"며 "그렇기 때문에 제가 주장하는 것은 유력한 정치 지도자나 또는 대선후보들이 이 문제에 대해서 사전에 같이 합의를 보고, 또는 선거 공약으로 약속을 하고 대선을 치르자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다음 대선은 차기 총선과 주기를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조기 대선으로 선출되는 대통령은 임기를 2년 단축하고 3년 임기로서 개헌을 확실하게 추진하는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지사는 "지난 대선 때도 그 당시 이재명 후보와 저하고 연대하면서 권력 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에 합의를 봤고 그때에 임기 단축까지 합의를 본 적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번 이재명 후보와도 제가 권력구조 개편에 대한 합의를 보면서 임기 1년 단축을 약속했었거든요. 왜냐하면 그때는 4년 뒤인, 내년이 지방선거가 있어서 그때랑 맞추려면 1년을 단축했어야 됐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오히려 시기적으로는 잘 된 것이 제 생각에는 대선과 총선이 같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강 시장은 "우리 광주는 기아차와 광주 삼성전자가 전체 5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니까 만약 관세 정책이 잘못되면 광주는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는다"고 했다.
이어 "광주가 자동차, 전자, 타이어,반도체는 후공정 엠코어를 중심으로 하고 이렇게 4개의 제품을 주로 산업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그래서 지금 관심이 많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미국과의 관계가 우리 지사님 여러 번 핫라인을 만들어야 된다, 대책을 만들어야 된다 이런 말씀을 해주셔서 고마운데, 관세 대응이 잘 안되면 우리는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트럼프 관세 정책은 시장님께서 잘 지적해주셨다시피 지금 굉장히 위협적인 잠재요인이다. 그래서 여러 차례 제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응하는 체제에 대한 이야기도 했었고, 수출 안전망 구축 에 대한 이야기도 했기 때문에 시장님과 같은 생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고, 계속 중앙정부에 이 문제를 촉구하고 있고 사실은 중앙정부도 지금 대응 공백 상태이기 때문에 여야가 합의를 해서 이 문제 만큼은 정파와 이념을 떠나서 대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촉구 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