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기준, 사내 하도급 2만여명으로 확대 여부 관심
“비정규직 기준, 사내 하도급 2만여명으로 확대 여부 관심”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에 대해 정부의 명확한 정의를 요구했다.
권 회장은 9일 오후 5시 포스코센터 서관 4층 아트홀에서 열린 제18회 철의 날 행사 뒤 기자들과 만나“정규직 전환은 철강뿐만 아니라 모든 사업장에서 신경 쓰고 있는 이슈”라며 “비정규직에 대한 정의를 정부가 명확히 해주는 대로 대응해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권 회장의 이날 발언은 비정규직에 대한 정의가 모호한 상황에서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나온 후에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포스코는 지난 3월말 기준 304명의 기간제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사내 하도급 등 소속 외 직원을 포함하면 2만여명에 달한다. 이에 비정규직의 정의가 사내 하도급 등 소속 외 직원들까지 확대되는 것인지 명확한 해석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재 포스코 사내하청 직원 15명은 직접 고용을 요구하며 소송 제기한 상태다. 1심은 적법한 도급이라며 포스코의 손을 들어줬지만 2심에서는 근로자가 승소했다. 권 회장은 이와 관련 대책을 묻는 질문에도 “잘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또한 권 회장은 철강업계를 압박하고 있는 통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협력사절단으로서 미국땅을 밟을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 정부가 지난해 9월 포스코가 수출하는 열연강판에 대해 61%에 달하는 반덤핑 관세를 매기는 등 잇따라 한국산 철강재에 제재를 내린 가운데 정부의 지원으로 해결에 나선 모양새다.
권 회장은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의 요청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첫 방미 일정에 철강업계를 대표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할 계획이다.
권 회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첫 방미 일정에 제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가야한다”며 “이번 방문은 통상 문제가 걸려있어 중요한 일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미관계 향상을 위해 철강업계가 뭘 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며 “특히 통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한다는 행정각서에 서명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국산 철강 수입 제한 작업을 위한 실무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 회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미국은 수입산 철강 점유율이 25% 수준임에도 자국 철강 산업을 위한 규제 강화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미국 뿐 아니라 유럽연합(EU), 동남아 등 선‧후진국을 가리지 않고 보호무역조치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철강 기술개발 및 투자확대를 통해 환경 친화적인 산업으로 변화해 나가고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사회적 역할과 기대에 부응토록 최선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한편 이 자리에는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권오준 철강협회 회장, 현대제철 우유철 부회장, 동국제강 장세욱 부회장, 세아제강 이순형 회장, 철강협회 송재빈 부회장 등 철강업계 및 수요업체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해 철강업계의 발전과 화합을 다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