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바 인수전 D-1, 한미일 연합이냐 미국이냐
SK하이닉스-베인캐피털 합류로 자금난 해소돼 2파전 변수
15일 인수후보 결정 연기 가능성 제기
SK하이닉스-베인캐피털 합류로 자금난 해소돼 2파전 변수
15일 인수후보 결정 연기 가능성 제기
도시바 반도체 사업인 도시바메모리 인수 후보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SK하이닉스가 합류한 한-미-일 3국 연합이 줄곧 앞서나간다는 평가를 받았던 미국 브로드컴 컨소시엄을 꺾고 후보로 선정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관련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도시바는 15일 개최될 예정인 이사회에서 도시바메모리 인수 후보자를 확정할 예정이다.
지난달 21일 마감한 2차 입찰에 참여했던 SK하이닉스와 미국계 사모펀드 베인캐피털 컨소시엄이 일본 관민펀드 산업혁신기구(INCJ)가 주축인 미-일 연합에 합류하면서 후보는 4곳에서 3곳으로 압축된 상태다.
한-미-일 3국 연합을 비롯, 미국 반도체 업체 브로드컴과 미국계 사모펀드인 실버레이크 컨소시엄, 대만 훙하이정밀공업(폭스콘) 등이다. 이 중 홍하이는 기술 유출로 인한 보안 우려가 커 사실상 제외돼 3국연합과 브로드컴과의 양자 대결로 압축된 상태다.
그동안 인수전은 좋은 조건을 제시한 브로드컴 컨소시엄이 우세한 형국이었다. 브로드컴은 일찌감치 도시바메모리 인수가격을 2조2000억엔을 제시하는 등 안정적인 자금력을 강조하면서 우세를 보여왔다.
이는 일본 기업들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수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 온 미-일 연합과 대비되면서 한 발 앞서 나갔다. 홍하이가 1차 입찰때부터 가장 많은 금액을 제시하긴 했지만 기술 유출 우려도 배제되면서 브로드컴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부상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그동안 업계와 외신에서는 브로드컴 컨소시엄이 인수 후보로 최종 선정될 것으로 전망해 왔다. 하지만 SK하이닉스와 베인캐피털이 미-일 연합에 합류하면서 그동안 가장 큰 난관이었던 자금 문제가 해소되면서 분위기는 조금 달라지는 양상이다.
이 날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3국 연합의 인수 방안은 도시바메모리 인수를 위해 툭수목적회사(SPC)를 만들고 구성원들이 각각 금액을 출자하는 구조다.
일본 산업혁신기구, 국책은행인 일본정책투자은행,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탈, SK하이닉스 등이 각각 3000억엔을, 도시바가 최대 1000억엔, 복수의 일본 기업이 1400억엔을 출자할 예정이다.
또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이 4000억엔을 융자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베인캐피탈 전에 미-일 연합에 속해 있던 미국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도 2000억엔 출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인수금액이 2조엔을 넘기면서 인수 유력 후보로 꼽히고 있는 브로드컴-실버레이크 컨소시엄에 대항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 변화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아사히신문은 SK하이닉스 가세로 미-일 연합이 한-미-일 3국 연합체제로 변경되면서 각 진영간 세부 내용들을 좀 더 살펴보기 위해 인수후보 선정이 연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당초 인수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미-일 연합의 변화로 도시바가 각 진영의 조건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성이 생겼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우선협상자 결정이 당초 일정보다 늦어질 것이라면서도 오는 28일 주주총회 전까지는 결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돼 협상이 시작되더라도 협상 과정에서 많은 난관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선, 도시바와 오랫동안 파트너십을 맺어왔지만 이번 매각을 두고 이견을 보이며 국제중재재판소에 중재를 요청한 미국 웨스턴디지털(WD)의 행보가 변수다. WD의 3국 연합 합류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인 가운데 향후 판결과 별도로 독과점 방지조항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만약 WD가 3국 연합에 합류하고 컨소시엄이 최종 인수후보로 결정될 경우 각국 독점금지법 심사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올 1분기 기준 전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에서 WD는 17.9%로 2위, 도시바는 16.5%로 3위를 기록 중이다.
이는 SK하이닉스에도 적용되는 문제다. SK하이닉스 지분 참여가 제한적으로 이뤄질 전망이지만 SK하이닉스가 11%의 점유율로 전 세계 5위 낸드플래시 사업자이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도시바메모리 우선협상자가 15일 결정되더라도 향후 협상 과정에서 많은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며 “우선협상자 선정 이후에도 계속 복잡한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내년 3월까지 매각을 완료해야 하는 도시바로서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