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반려견도 혈액형 있다…“수혈 때 적합성 검사받아야”


입력 2018.02.07 15:44 수정 2018.02.07 15:48        이소희 기자

농진청 “반려견 혈액형 7종 중 국내는 1종만 판별 가능, 수혈 전 혈액반응 검사 필요”

농진청 “반려견 혈액형 7종 중 국내는 1종만 판별 가능, 수혈 전 혈액반응 검사 필요”

반려견 진료 ⓒ농진청

농촌진흥청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반려견의 혈액형 특성을 소개하고 수혈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주문했다.

7일 농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2015년 기준 21.8%로 2012년보다 3.9% 늘었으며, 마릿수는 개 약 512만 마리, 고양이 약 189만 마리로 추정된다.

반려견도 사람처럼 불의의 사고로 인한 수술이나 질병이 발생하면 수혈을 받아야 하는데, 이때 혈액형을 판별하고 헌혈견과 수혈 받는 반려견 사이의 수혈 적합성 검사를 받아야 안전한 수혈이 가능하다.

반려견의 혈액형은 20가지 정도가 보고돼 있으며, 7가지가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디이에이(DEA, Dog Erythrocyte Antigen) 1형’, ‘디이에이 7형’ 등이 있다.

‘디이에이 1형’은 급성 수혈 부작용인 적혈구 용혈을 일으킬 수 있는 혈액형이나, 개는 디이에이 1형에 대한 자연 발생 항체가 없기 때문에 이 혈액형의 혈액을 처음 수혈 받는 경우 급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디이에이 1형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혈액형인 ‘디이에이 1 네거티브 형’을 가진 개가 디이에이 1형 적혈구를 수혈 받게 되면 면역반응으로 수혈 받은 적혈구 수명이 줄거나, 미성숙 적혈구를 파괴하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는 디이에이 1형인지 여부만 판별할 수 있고 나머지 혈액형을 정확하게 구분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반려견 수혈 전에는 반드시 헌혈 견과 수혈 받을 개의 혈액을 서로 반응시켜 적합성 검사를 해야 한다. 디이에이 1형에 대한 혈액형 판별은 가까운 동물병원에서 받을 수 있다.

‘디이에이 7형’ 혈액을 수혈할 경우, 급성은 아니지만 지연형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반려견의 주요 혈액형 특성 ⓒ농진청

도윤정 농진청 가축질병방역팀 수의연구사는 “반려견의 혈액형 연구는 수의학적으로나 반려견의 생명을 구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분야”라며 “수혈 부작용이 우려되는 디이에이 1형과 7형에 대한 국내 품종별 분포조사를 현재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