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文대통령 지지율 4주연속 하락 50.3%…20대 이탈 가속화


입력 2018.11.21 11:00 수정 2018.11.21 14:21        이충재 기자

알앤써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50%선 유지도 '위태'…'긍정-부정평가' 격차 6.9%포인트 좁혀져

알앤써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50%선 유지도 '위태'…'긍정-부정평가' 격차 6.9%포인트 좁혀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지지율이 4주 연속 하락했다. 경기침체와 고용쇼크로 대표되는 경제지표 악화의 여파로 지지율 하락을 거듭하면서 50%선 사수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지지층 역할을 했던 20대의 이탈행렬이 급격하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자료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지지율이 4주 연속 하락했다. 경기침체와 고용쇼크 등 경제지표 악화의 여파로 지지율 하락을 거듭하면서 '50%선' 사수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무엇보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지지층 역할을 했던 20대의 이탈행렬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실시한 11월 셋째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주 보다 0.7%포인트 하락한 50.3%로 나타났다.

특히 문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는 43.4%로 1.7%포인트 올랐다. 부정평가는 7주 연속 상승하면서 '경고음'을 울렸다. 긍정-부정평가 격차는 6.9%포인트로 좁혀졌다. 긍정-부정평가 곡선이 교차된 이후엔 사실상 개혁동력을 상실하게 된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실시한 11월 셋째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주 보다 0.7%포인트 하락한 50.3%로 나타났다.ⓒ알앤써치

적극지지층 '소수화'…20대 '부정평가'가 앞질러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매우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32.6%로 지난주(32.3%)와 큰 변동이 없었다. 지난 대선 득표율(41.08%)을 밑도는 수치다. 올해 상반기까지 50%를 상회하며 대규모 전선을 이뤘던 문 대통령의 적극지지층이 '소수그룹화' 되는 양상이다.

연령별 조사에선 19세이상~20대에서 44.6%로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20대에서 부정평가가(47.3%) 긍정평가(44.5%)를 앞섰다. '경제‧일자리' 문제에 대한 실망으로 20대 청년층이 등을 돌리게 된 것이란 분석이다.

아울러 40대에서 62.8%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에서 44.1%로 가장 낮았다. 이어 30대(53.8%), 50대(47.9%) 순으로 나타났다.

"20대 이탈은 경제‧고용불안에 개혁에 실망감 복합작용"

지역별로는 호남에서 78.4%로 가장 높았고,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선 44.5%였다. 대구‧경북에서는 36.1%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최근 문 대통령 국정지지율 추이는 '20대 청년층 이탈현상'이 두드러진다"며 "20대는 생활형보수와 진보가 공존하는 세대이기 때문에 20대의 민심이반현상이 경제‧고용불안뿐만 아니라 기대에 못 미치는 개혁에 대한 실망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일 전국 성인남녀 1004명(가중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6.3%, 표본은 2018년 10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에 따른 성과 연령, 지역별 가중 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알앤써치(www.rnch.co.kr)에서 확인하면 된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