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주요 간부 소집해 금융시장 점검…향후 대응 논의
"권한 벗어나거나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성 지원은 불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로 금융시장의 상황이 악화될 경우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일 오후 한은 주요 간부를 소집해 채권시장안정펀드 가동과 전액공급방식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제도 시행에 따른 기업어음(CP) 및 회사채 동향 등 금융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 이 같이 언급했다.
한은은 시장 유동성 공급을 위해 전날 채권시장안정펀드를 가동한데 이어 이날 오전에는 전액공급방식 RP매입을 시행했다. 해당 RP 매입 입찰에는 5조2500억원이 응찰됐고, 한은은 이 금액 모두를 공급하기로 했다. RP는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 후에 다시 사는 조건으로 채권을 팔고 경과 기간에 따라 소정의 이자를 주고 되사는 채권이다. 사실상 채권을 담보로 맡기고 현금을 빌리는 것이다.
이 총재는 "회사채 만기도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시장의 자체 수요와 채권안정펀드 매입 등으로 차환이 가능할 것"이라고 나대봤다.
하지만 앞으로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전개와 국제금융시장의 상황 변화에 따라 회사채 시장 등 국내 금융시장에서 신용경색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한은으로서는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해 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총재는 "한국은행은 기본적으로는 은행 또는 공개시장운영을 통해시장안정을 지원하지만, 상황이 악화될 경우에는 회사채 시장 안정을 위해 한은법에 의거,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해 대출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법에서 정한 한은의 권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성 지원은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