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조작 철저히 규명해 책임 바로 잡아야”
‘쇼핑’ 공정위 제재로 ‘뉴스’까지 조작 의혹 번져
네이버의 ‘알고리즘 조작’ 의혹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도마에 올랐다.
과방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7일 여의도 국회에서 개최된 국감에서 시작부터 네이버 측 증인을 불러달라며 거세게 요구했다.
박성중 의원(국민의힘)은 “포털 증인 채택 여부를 놓고 오늘 아침에도 여야 논의를 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전날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쇼핑 알고리즘 조사결과 발표와 과징금 부과에 대해 언급했다.
앞서 공정위는 네이버가 쇼핑·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운영하며 검색 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조정해 자사 상품·서비스를 검색 결과 상단에 올리고 경쟁사는 하단에 내린 행위에 대해 쇼핑 약 265억원, 동영상 약 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박 의원은 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과 ‘실시간급상승검색어(실검) 알고리즘’ 역시 조작일 것이라고 의심했다. 그는 “검색어 조작 등을 철저히 규명해 대한민국을 혼탁하게 한 것에 대한 책임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식 의원(국민의힘)도 공정위 알고리즘 조사를 언급하면서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전공이 AI다 보니 알고리즘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지금까지 크게 (논란이) 되지 않았지만 불거진 이상 바른 사회가 될 수 있도록(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은아 의원(국민의힘)은 “왜 네이버가 증인으로 참석하지 못하는지에 대해 진심으로 여쭙고 싶다”며 “알고리즘 조작 불가능 주장은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비판했다.
이원욱 과방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네이버에 대한 야당의원들의 지적이 거듭 이어지자 “22일 종감 전인 15일까지 의결하면 되니 여야 간사가 함께 충분히 논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하면서 야당 의원들의 자제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