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비전 '리이매진' 전략 발표…2039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재규어 랜드로버는 미래의 전동화 계획을 담은 '리이매진(Reimagine)' 글로벌 전략을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재규어와 랜드로버는 2030년까지 모든 라인업에 전동화 모델을 도입한다. 재규어는 전모델에 순수 전기 파워트레인을 탑재하며, 랜드로버는 전체 판매 차량 중 60%에 무배출 파워트레인을 장착할 계획이다.
특히 랜드로버는 앞으로 5년간 레인지로버, 디스커버리, 디펜더 패밀리 라인업을 통해 6개의 순수 전기차를 선보인다.
첫번째 순수 전기차는 2024년 공개된다. 랜드로버는 도전정신과 개척정신을 상징하는 브랜드 슬로건 ‘어보브 앤 비욘드(Above and Beyond)’를 실현한다.
재규어 랜드로버는 2039년까지 자동차 생산·공급·운영 과정에서 탄소중립(net zero)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소 경제 발전에 맞춰 청정 연료 전지 채택을 함께 준비하고 있다.
향후 12개월 내에 영국에서 프로토타입이 주행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이미 개발 작업을 시작했으며, 장기 투자 계획으로 진행된다.
고객에게 향상된 드라이빙 경험 및 라이프스타일 제공을 위한 전동화 기술과 커넥티드 서비스 개발, 고객 생태계 개선에 필요한 데이터 중심 기술에 연간 약 25억 파운드(한화 약 3조8000억 원)를 투자한다.
랜드로버는 곧 도입될 유연성이 돋보이는 MLA(Modular Longitudinal Architecture) 플랫폼을 사용한다.
랜드로버는 MLA 플랫폼을 통해 전동화된 내연기관과 순수 전기 모델을 제공하며 순수 전기차에는 EMA(Electric Modular Architecture) 플랫폼을 적용할 계획이다. 앞으로 재규어 모델은 온전히 순수 전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리이매진 전략은 단순화된 설계가 특징이다. 한 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델과 플랫폼 수를 통합함으로써 럭셔리 브랜드가 추구하는 효율적인 규모와 품질에 대한 새로운 벤치마크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근법은 자원 조달을 가능하게 하고 지역의 순환 경제 공급망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제조 측면에서 재규어 랜드로버는 영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공장과 조립 시설을 유지할 계획이다. 영국의 솔리헐은 MLA 아키텍처의 생산기지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재규어를 위한 고급 순수 전기 플랫폼의 본거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