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수험생 66명·격리 12명…확진자 383개 병상 확보·격리자 최대 3099명 응시 대비
특별방역기간 4일~17일…수도권 노래방·PC방·학원 등 다중이용시설 집중 점검
학교 주변시설에 2350여 명 생활지도 방역인원 추가 지원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과 함께 코로나19 확진자가 늘면서 교육당국이 오는 18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22일 수도권 학교 전면등교를 앞두고 학생들의 이용이 많은 시설에 대한 특별점검과 방역지도 등 학교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재정 경기도교육감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경기도·서울시·인천시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방역대책회의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교육부는 수능과 전면등교를 준비하면서 학교 안팎의 학생 이용시설에 대한 관계부처·지자체 합동 특별점검을 추진하는 등 더 촘촘한 방역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9일 기준으로 수능 응시자 중 병상 등 배정이 필요한 확진 수험생은 66명, 수능일 이후까지 자가격리가 유지돼 별도시험장 배정이 예정된 수험생은 12명이다. 교육부는 확진 수험생이 응시할 전국 병원·생활치료센터 31곳 383개 병상(수도권 54곳 219개 병상)을 확보했으며 자가격리 수험생을 위해서는 112곳에 620개 별도 시험장을 마련해 최대 3099명 응시에 대비하고 있다.
특별방역기간인 4∼17일 서울, 경기, 인천에서 노래방과 PC방, 영화관, 학원 등 다중이용시설 15만5000여 곳을 점검 중이고, 수도권 학교 주변시설에 대해서는 2350여 명의 생활지도 방역인원이 추가로 지원된다. 수능 전날인 17일에는 전국 보건소의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밤 10시까지 연장된다.
수능 이후 첫 월요일인 22일부터는 사실상 전면 등교가 이뤄지고 있는 지방에서 수도권 학교들로 전면 등교가 확대된다. 교육부는 교내 밀집도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해 수도권 과대·과밀 학교 등에 방역인력 1863명을 추가로 지원한다. 수도권에 학급당 학생 수가 28명 이상인 학교는 총 649곳(15%)이다.
교육지원청 단위로도 '학교 생활방역 지도점검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지자체·교육청 합동점검반도 연말까지 운영하며, 학교 학생들의 이용이 많은 시설에 대한 특별점검과 방역지도에도 나서기로 했다. 서울·부산·인천·경기·강원·경남 등 6개 시·도에서 연말까지 9만4500명을 검사할 수 있도록 선제적인 PCR 검사 이동검체팀 운영을 확대하고, 집단감염 발생 학교에 대한 중앙합동역학조사에 나선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18일부터 접종이 시작된 16∼17세는 이날 0시까지 58만2749명이 1차 접종을 했고, 이달 1일부터 접종이 시작된 12∼15세는 대상자의 31.2%(57만7017명)가 예약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