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완만하게 진행될 것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 출현으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장기적으로는 확산세 및 방역강도가 완화되며 글로벌 경기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5일 한국은행은 해외경제포커스-‘향후 글로벌 경기를 좌우할 주요 리스크요인 점검’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글로벌 경기와 물가 흐름을 조망하기 위해 주요 ▲감염병 상황의 전개 양상 ▲글로벌 공급병목 현상 해소시점 ▲중국경제의 둔화 속도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등을 점검했다.
그 결과 치명률 등이 불확실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과 계절적 영향으로 코로나19 상황이 재확산이 북반구를 중심으로 다수 국가로 확산될 가능성은 있겠으나, 긴 흐름에서는 확산세 및 방역강도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향후 세계경제는 치료제 보급과 백신접종률 상승에 힘입어 추세적으로 회복 흐름을 이어간다는 설명이다.
다만 한은은 “이러한 추세 전망에도 불구하고 이번 북반구 겨울철을 맞아 감염병 확산세 심화 →방역강도 강화가 다수 국가로 확산될 경우 글로벌 경기 회복에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공급병목 현상의 경우 반도체 생산 및 노동공급 차질 완화 속도가 다소 더딘 가운데 원자재가격 오름세와 물류차질은 내년중에는 점차 완화될 것으로 관측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불균형은 아세안 국가들의 백신접종률 상승, 설비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내년 중 점차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물류 차질 역시 내년중 상품 수요가 서비스 수요로 점진적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점차 완화될 것으로 평가했다.
중국경제는 헝다사태, 전력난, 고강도 방역정책 고수 등의 여파로 최근 성장흐름이 둔화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석탄 증산‧수입 확대, 전기요금 인상 등 당국 조치에 힘입어 전력 수급 불균형이 완화되었으며, 11월 제조업PMI도 다시 기준치(50)를 상회했다.
한은은 “향후 중국경제는 부동산부문 디레버리징 지속, 공동부유 정책 강화 기조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 둔화 흐름을 이어가겠으나, 재정여력, 양호한 대외수요를 감안할 때 내년중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라고 언급했다.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관련해서는 최근 미국 소비자물가가 높은 오름세를 보여 당초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겠으나, 대체로 금리인상을 포함한 정상화 과정 자체는 완만한 속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시장 참가자들의 대체적인 평가라는 분석이다. 한은은 “이를 종합하면, 향후 글로벌 경제는 코로나19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 경제활동을 정상화하며 회복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