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설 급부상…집 값은 ‘글쎄’


입력 2025.04.09 16:07 수정 2025.04.09 16:46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대선 이슈화 가능성…부지 확보 장점 ‘주목’

최근 거래 증가…하락했던 집 값 회복 조짐

상주 인구 확보 관건…일시적 상승 전망도

세종시 다정동에서 바라본 시내에 아파트가 빼곡히 들어서 있다.ⓒ연합뉴스

조기 대선을 두 달 앞두고 대통령 집무실 세종시 이전 가능성에 지역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세종이 유력한 후보지로 급부상하자 기대감에 거래량도 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신중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9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최근 3개월 간 상승세를 지속한 가운데 지난달 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은 715건으로 전월(372건) 대비 92.2% 증가했다.


세종 정부 청사 인근 아파트 단지 가격도 한 달 만에 3억원 가까이 뛰었다. 세종시 새롬동 새뜸마을 14단지 더샵힐스테이트 전용 98㎡ 매물 거래가는 지난달 20일 9억1000만원에 손바뀜되며 2월에 이뤄진 직전 거래(6억3000만원)보다 2억8000만원이 올랐다.


이같은 가격 급등 배경으로는 세종시 집값이 수년 간 하락을 거듭하며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된 상황에서 대통령실이 세종시로 이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정치권에서는 조기 대선이 오는 6월 3일로 확정된 이후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으로 옮기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복귀도 함께 언급되지만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토균형발전 취지에는 세종이 적합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하다 불발한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을 재추진하고 있으며 민주당은 대한민국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이전하는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을 이달 중 발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세종시는 이미 국회의사당 분원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부지가 확보돼 있다. 앞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해 하반기 대통령 2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 건축설계 용역에 착수한 바 있다. 용역 수행 업체로는 한국건축가협회가 선정됐으며 10개월 간 과업을 수행하기로 했다.


이에 세종시 일대 집값도 하락세를 딛고 보합으로 전환했다. 세종시는 지난 2020년 전국에서 집값 상승률 1위(35.76%)를 기록했으나 이후 급격한 하락장을 겪었다.


하지만 최근 가격이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이다. KB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한 달 간 세종 아파트 주간 변동률은 10일 기준 -0.07% 였던 것이 월말인 31일 기준 0.00%로 하락세가 완전히 멈췄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실이 세종으로 이전하면 수요가 늘어나 지역 주택 과잉 공급 문제는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집 값 상승이 나타나더라도 그동안의 가격 하락 분을 회복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세종은 과잉 공급이 해소되는 분위기이기도 하고 몇 년째 가격이 떨어지면서 저가 매수에 대한 움직임 등 기대감은 있다”면서도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이 집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은 할 수 있는데, 지방 전반의 주택 시장 분위기가 좋지 못하고 물가·금리인하 등 불확실성도 커져서 일정 부분 가격이 반영된다 해도 천천히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의 주택 수요가 늘려면 상주 인구가 확보돼야 하는데, 대통령 집무실만 옮긴다고 해서 그 지역의 인구가 급증해 활성화되긴 어려워 보인다”며 “최근 세종 아파트거래가 보합세로 바뀐 것은 시장 침체 속 조기 대선이라는 빅 이벤트를 앞두고 매도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부분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과거 정부부처들을 세종시로 이전했을 때도 집값이 잠시 상승한 적이 있지만 대통령 집무실은 오히려 부처 이전 때보다 규모가 작아 실질적인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연구위원은 “실질적 효과보다 그 자체로서 상징적 의미가 더 크다고 봐야 한다”면서도 “대선 공약으로 집무실 뿐 아니라 국회 등 행정 수도 기능을 통째로 세종으로 이전하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