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의힘, '여가부 폐지' 공약 두고 시끌시끌…철회 가능성 있나


입력 2022.03.13 00:00 수정 2022.03.13 00:24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뜨거운 감자 된 여가부 폐지 공약

이준석·원희룡 등 "공약 그대로 지켜질 것"

조은희·김재원 등 '격상·재검토' 주장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 선거대책본부 해단식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국민의힘 대선 승리 이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여가부 폐지' 공약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는 '여가부 폐지' 공약을 빌미로 국민의힘이 '남녀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며 군불을 떼는 가운데, 국민의힘 내에서도 다양한 논의가 오가는 모습이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도부는 대체로 공약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강조하는 한편, 당내 일각에서는 공약을 신중하게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준석 대표는 여가부 폐지 공약이 뜨거운 관심을 받자 "공약 그대로 지켜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지난 11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여가부 폐지가 무슨 '반(反) 여성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이상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현재 여성가족부가 하는 역할을 보면 여성이나 가족 문제, 권익을 신장시키기보다는 오히려 그들만의 자리 나눠먹기가 돼서 흔히 말하는 과도하게 한쪽으로 편향된 페미니스트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그런 분들의 일종의 출세도구처럼 보여졌다"고 지적하며 "단순하게 여성가족부를 폐지한다는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정책본부장 역시 "여가부 폐지 공약은 지켜질 것이고, 여성 보호는 갈라치기가 아닌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권성동 의원은 "이 결단은 여가부에 대한 국민 여론과 시대정신에 따른 것"이라며 "이것을 젠더 갈등, 여성 혐오인 것처럼 무작정 몰아간 것은 오히려 민주당"이라고 했다.


반면 당내 일각에서는 여가부 폐지 공약을 일부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서울 서초갑 보궐선거 당선인인 조은희 전 서초구청장은 오히여 여성가족부를 격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여성의 안전이나 저출산 문제나 가족의 문제를 어느 부서에서는 해결해야 되는데, 지금 인구 절벽이기 때문에 대통령 프로젝트로 컨트롤 타워가 있어야 한다"며 "이 기능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서 제대로 역할을 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원 최고위원도 MBC라디오에서 "젊은 여성들, 20대 특히 30대 초반의 여성들에게 좀더 소프트하게 접근하는 노력은 부족하지 않았는가 그런 생각이 들었고 이것이 조금 우리 선거 전략 과정에서도 한 번 돌이켜봐야 될 것"이라며 "(여가부 폐지 공약 재검토는) 앞으로 많은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tbs '뉴스공장'에서 "결과적으로는 이대남, 이대녀라는 그 젠더 갈등이라는 측면에서 이것을 더 도드라지게 했던 부분도 있었다고 인정을 해야 된다"며 "결과적으로는 젊은 여성들이 가졌을 만한 소외감이라든지 어떤 배타적인 감정에 대해서 앞으로 배려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복수의 국민의힘 관계자들에 따르면, '여가부 폐지'는 윤석열 당선인의 주요 공약중 하나였던 만큼 철회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다.


인수위원회 7개 분과에 '여성'이 없지만, 인수위 안에서 여가부 폐지 공약을 진지하게 논의한다는 것이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와 관련 "여성과 남성의 문제가 아니라 아동과 가족, 인구절벽에 대해 따로 부처를 만든다고 했다"며 "모든 여성에도 관련된 문제다. 전반적으로 성(性)의 문제가 아닌 휴머니즘 철학을 반영해서 여성, 남성을 공히 골고루 다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