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사 순익 1년 전보다 9.3% 늘어
충당금·가계대출 덕 수익성 개선
지방금융그룹들이 올해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대비해 대거 쌓아 놨던 충당금 덕에 하반기부터 부담이 줄었고, 가계대출 규제애 막힌 시중은행의 대출 수요를 흡수한 영향이다. 이에 힘입어 지방은행장들의 연임 소식도 이어지는 가운데, 내년에도 안정적인 수익성이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BNK·JB·DGB금융의 올해 연간 합산 순이익 전망치는 총 1조76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BNK금융이 전체 호실적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BNK금융의 누적 합산 순이익 전망치는 8036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25.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JB금융 역시 661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2.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DGB금융은 2297억원으로 예상되며 22.7% 감소할 전망이다. 3사 중 유일한 역성장 관측이다. 이는 상반기 대규모로 적립한 충당금 영향 탓으로, 하반기 들어서는 상승 곡선에 올라탔다. 지난 3분기 DGB금융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지방금융의 실적을 끌어올린 건 올해 상반기 지방 금융이 대규모로 쌓은 충당금에 대한 기저효과로, 하반기에는 상대적으로 충당금 적립 부담이 적어진 점이 꼽힌다.
올해 상반기 지방 금융지주들은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대규모로 적립했다. 부실 사업장이 많은 지방금융 입장에선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대손비용을 적립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였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정상화 조치의 일환으로 사업성 평가 기준을 기존 3단계에서 4단계로 강화한 바 있다.
실제 상반기 지방금융 3사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1조940억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대비 51.7% 늘어난 규모였다. 금융지주별로는 DGB금융이 4756억원을 적립하며 가장 많은 충당금을 쌓았고 이어 BNK금융 3677억원, JB금융 2507억원 순이었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강화하면서 지방은행들로 가계부채 수요가 몰린 것도 호실적에 영향을 줬다. 은행권이 금리인상 등의 방법으로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한 실수요자들이 지방은행으로 몰린 거다. 이에 대출 금리 인상분까지 반영되면서 실적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억제하자 지방금융을 포함한 은행권은 변동·고정형 대출의 지표금리인 코픽스가 내리자 가산금리를 올리는 식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가산금리란 수요자의 신용점수나 상환능력, 은행의 관리 비용 등을 고려한 후 은행이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금리다. 쉽게 말해 은행들의 자금 조달 비용은 낮아지고 있지만, 고객에게 받는 금리는 높아지면서 실질 수익이 늘고 있다는 거다.
이같은 지방금융의 호실적은 행장들의 거취에도 영향을 줬다. 지방은행들은 내년에도 긍정적인 실적을 시현하기 위해 행장의 연임을 택하는 모습이다. 쇄신과 변화보단 안정적인 수익성에 무게를 둔 거다.
전북은행은 지난 17일 이달 말 임기가 만료되는 백종일 은행장의 연임을 결정했고, 같은 날 광주은행도 고병일 행장의 연임을 확정했다. 황병우 DGB금융지주 회장 겸 iM뱅크 행장 역시 1년 더 자리를 지키게 됐다. BNK금융은 임추위를 열고 행장 최종 후보군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상반기 적립했던 대손비용이 부동산 경기 개선 등으로 인해 실제 손실로 이어지는 규모가 예상보다 낮은 점도 실적에 영향을 줬다"며 "가계대출 수요가 지방은행으로 이동한 것도 호실적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