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미분양 매입 'CR리츠' 출시 검토
당정이 기업구조조정(CR)리츠 상반기 출시 등 지방의 미분양 사태와 건설 경기 침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DSR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등 팔을 걷어붙이기로 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4일 오후 국회에서 경제분야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가 끝난 후 언론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를 위해 당정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구입시 세제상 1세대 1주택 특례 사업유지, 사업자 원시취득세 50% 감면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또 민간임대주택법, 종부세법과 지방세법 시행령 등 지방 미분양 해소를 지원하기 위한 후속 법령 개정안들도 조속히 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김 정책위의장은 "적체된 미분양을 직접 회수하는 '비수도권 미분양 매입 CR리츠'도 상반기 중 본격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리츠란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를 말한다.
이에 더해 여당은 이날 DSR 대출 규제 한시적 완화를 비롯해 다양한 조치를 정부에 촉구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당 차원에서) DSR 대출 규제의 한시적 완화를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에 요청했고, 금융위에서 면밀하게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덧붙였다.
또 영세 소상공인을 위한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노란우산공제 세제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소상공인 새출발기금은 대상을 확대하고, 영세소상공인 사업장의 소비 소득공제율도 올해 한시적으로 15%에서 30%로 상향했다. 전환보증 3조2천억원 등 소상공인 금융 3종 세트의 지원 확대도 계획대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연체 전(前) 자영업자는 은행권 4대 금융지원 방안을 통해 종합 지원하고, 연체된 자영업자에게는 새출발기금(40조원)을 통해 신속한 재기를 지원한다.
또 물가 안정을 위해 당정은 11조6000억 원의 재정을 지원하고, 특히 취약계층에 870억 원 규모의 '먹거리 안전망 패키지'를 상반기 중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상반기 추가 소비 소득공제(20%), 내구재 구매촉진 3종 세트(자동차개소세 한시인하 등) 등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단통법 폐지 후 통신비 경감을 위한 제도 개선도 함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