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응 정책 구체적 성과 보여”
환경부는 11일 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가 ㎥당 15.6㎍을 기록하며, 초미세먼지 관측을 시작한 2015년 이래 최저치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 531곳 도시대기측정망 관측값을 분석한 것으로 2015년 초미세먼지 농도 대비 38.1%, 전년 대비 14.3% 감소한 수치다.
초미세먼지 농도를 등급별로 보았을 때 초미세먼지가 ‘좋음’(전국 일평균 ㎥당 15㎍ 이하)인 날은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212일을 기록했다.
‘나쁨’(일평균 ㎥당 36㎍ 이상) 등급을 넘어선 일수 또한 10일로 역대 가장 적었다. ‘매우 나쁨’(일평균 ㎥당 76㎍ 이상) 일수는 전국적으로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
2024년 전국 17개 시도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당 12.3~18.9㎍ 수준으로 제주와 전남이 12.3㎍으로 가장 낮았다. 강원(12.9㎍)과 경남(13.0㎍)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 관측 이래 가장 크게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된 지역은 전북 지역이다. 2015년 대비 54.8% 개선됐다. 전남 50.4%, 강원 50.0% 순으로 농도 감소율이 컸다.
전국 153개 시군 가운데 도시대기측정망이 모두 설치된 2020년 이래 농도 개선 폭이 가장 큰 지역은 강원 태백(48.9%)이다. 전남 구례(42.9%), 충북 보은(41.4%) 순이다.
아울러 경기 동두천·부천, 강원 춘천·영월·동해·양구·인제·횡성·양양·고성, 충북 옥천, 충남 부여, 전북 임실, 전남 영암·함평·영광, 경남 양산·밀양·거제는 2020년 대비 30% 이상 초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 153개 시군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당 8.8~21.2㎍으로 강원 양양이 8.8㎍으로 가장 낮았다. 강원 고성(9.1㎍)과 태백(9.3㎍), 경북 울진(9.7㎍), 경남 사천(10.1㎍) 낮게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을 정책 효과와 국외 유입 감소, 양호한 기상 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로 해석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그간 산업, 수송, 생활 등 핵심 배출원에 대한 집중적인 저감 정책으로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현재 시행 중인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초미세먼지로부터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