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25일 KAIT 대강당에서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 성적 우수자 시상식’을 개최하고, 디지털 분야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들을 격려했다고 밝혔다.
2001년 도입된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은 25년간 디지털 분야의 대표적인 공인 자격 시험으로 자리매김했다. 초·중등교육법 제25조에 따라 고등학교 생활기록부에 기재되며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라 최고 6학점이 인정되는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이번 시상식은 2024년 한 해 동안 시행된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 자격검정(1월~12월) 응시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6개 과목(프레젠테이션, 스프레드시트, 워드프로세서, 멀티미디어 제작, 인터넷 정보검색, 정보통신상식)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응시자와 우수 지도자들을 선발해 시상했다.
‘개인부문’ 영예의 대상은 경남 양산 평산초 5학년 이유림 학생이 차지했다. 이유림 학생은 “방과 후 선생님께서 꼼꼼히 가르쳐 주신 덕분에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다. 올해는 워드와 정보검색에서도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겠다. 이렇게 큰 상을 받아 정말 기쁘고, 지도해 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린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개인부문’ 최우수상은 마정민(경기 고양 23세) 등 14명에게 수여됐다. 최고령 우수상 수상자인 김은선씨(전남 여수 50세)는 “2018년부터 코딩 방과 후 수업을 진행해왔으며, 아이들에게 더욱 다양한 디지털 역량을 지도하기 위해 DIAT 자격증을 준비했다. 50세라는 늦은 나이에 새로운 도전을 결심했고, DIAT 시험을 통해 자신감을 얻으며 아이들 에게 더 넓은 세상을 가르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졌다. 올해는 DIAT 방과 후 선생님으로 활동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우수 지도자 부문’ 대상은 최다 응시생을 지도하고, 응시생 평균 최고 점수를 기록한 국민대학교 강영신 교수가 수상했다. 강영신 교수는 “수업을 통해 OA를 처음 접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큰 보람을 느꼈다. 또한,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열정이 더욱 커지는 것을 실감했다. 앞으로도 더 많은 학생들이 디지털 역량을 키우고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김진영(부산)·김혜경(경기 이천) 교사를 포함한 12명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이창희 KAIT 상근부회장은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는 시대에는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서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이 더욱 중요하다”며 “협회는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을 반영한 실무 중심의 자격검정을 강화해 미래 인재들이 변화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