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의힘, 경선룰 끝내 현상유지?…혼란은 최소화, 경쟁력은 글쎄


입력 2025.04.09 06:30 수정 2025.04.09 06:43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국민의힘, '尹 관계' 여전히 애매한 스탠스

'촉박한' 대선 일정에 경선룰은 5대5 유력

일각 "'尹과의 결별' 없이 대선 승리 어렵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이 조기 대선 모드로 본격 전환한 가운데 당 전략은 '현상 유지' 전략을 택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경선 룰 모두 기존과 같이 고수하며 짧은 대선 기간 동안 오직 승리에만 집중하겠단 방침이다.


'현상 유지'는 시간이 촉박한 만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일 수 있지만, 일각에서는 본선 경쟁력을 위한 '외연확장'에 있어서는 단점이 뚜렷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유지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놨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은 오로지 6월 3일 대선에서 승리하겠다는 목표로 후보 결정하고 선거 캠페인 전개하겠다는 생각밖에 없다"며 "그 목표 이외에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등) 다른 부분에 대해 언급하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고, 그것은 대선가도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당이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 두기보다는 기존 관계를 유지한 채 대선 전략을 펼치겠단 뜻으로 해석된다.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정을 받은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지 않으면, 국민의힘 또한 국민을 배반한 것'이란 일각 지적에 대해 "논리적인 비약"이라며 오히려 이 대표에게 책임을 물었다.


권 원내대표는 "그런 논리라면 전과 4범에 8개 혐의로 5개 재판 받고 있는, 숱한 거짓말과 말 바꾸기로 국민을 혼란스럽게 한, 그리고 30번의 탄핵 소추와 23번 특검법 발의, 35번 위헌 위법적인 법률안을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이 대표야말로 국민을 배반한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헌재가 결정문에서 민주당의 의회독재에 대해 지적한 것을 언급하며 "이렇게 원인을 제공한 이재명 세력은 마치 자신들은 선인양 그리고 정당한양 주장하면서 국민을 호도하는 건 결코 용납할 수 없다. 국민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경선 룰에 대해서도 곳곳 빗발치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민심·당심 50:50'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간적 제약과 함께, 본경선 룰은 당헌·당규로 규정돼 있어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임의로 조정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경선룰에 대해서는 당 선관위가 오는 9일 첫 회의를 열고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다만 당 선관위 재량에 있는 예비경선에 한해서는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022년 대선 당시에는 △1차 예비경선 '일반국민 여론조사 80%와 당원투표 20%' △2차 예비경선 '일반국민 여론조사 70%와 당원투표 30%' 방식으로 치러진 바 있다.


촉박한 대선 시계
현상유지, 득실상반(得失相半)


이 같은 '현상 유지'라는 지도부의 판단은 일정이 촉박한 대선 일정 속에서 상대 진영 대비 다수 포진한 대권주자들 간 경쟁, 윤 전 대통령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라는 불리한 지형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현재 친윤(친윤석열)계와 비윤(비윤석열)계로 분열돼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의 탄핵에 대한 입장 차이로 갈라지게 됐으며, 이로 인해 당내 내홍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이 선거의 '캐스팅보트'를 쥔 중도층의 표심을 얻는 데 실효성이 있을 지는 미지수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중도층의 이탈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승기를 잡으려면 강성 지지층보다 중도층을 겨냥한 전략이 필요하단 조언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며 '천막당사'를 차려 한나라당을 되살리고 '선거의 여왕'이라는 칭호를 얻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과 비교했을 때, 윤 전 대통령의 지지세는 상대적으로 그 뿌리가 약한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강성 지지층보다 중도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대선에 있어 더 효과적일 것이란 분석이다.


그만큼 향후 국민의힘 지도부가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명확히 정리하고 거리두기에 나설 가능성도 나온다. 윤 전 대통령과의 선긋기 없이 대선에서 승리를 기대하긴 어렵단 판단이 작용할 수밖에 없단 것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비교하자면 윤 전 대통령의 지지세는 약하고 지지층들의 결집력도 크지 않다"며 "소수의 강성 지지층을 위해 당이 윤 전 대통령을 안고 가는 것은 리스크가 있을 것"으로 짚었다.


이어 "지도부가 윤 전 대통령을 끌어 안고 간다면 대선에서 승리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