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흔쾌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 마련
비난 클거라 생각…내린 결론 바뀌진 않아"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특별당규위)가 차기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 논의를 마쳤다. 다만 해당 안건에 대한 최종 의결은 오는 12일에 이뤄질 예정이다.
이춘석 민주당 특별당규위원장은 11일 오후 특별당규위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전부 논의를 마쳤다"면서도 "어떻게 결론을 냈다는 결과는 말씀드리지 않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 예정자들의 뜻이 충분히 반영된 경선 룰을 만들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실 탄핵 정국에 의해 (조기)대선이 열렸고 시기적으로 촉박하다"며 "우리들이 위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것이냐, 지지층과 중도층을 어떻게 포섭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이 많았다"고 했다.
이어 "모든 후보가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는 안을 만드는 것이 위원회의 소명이라 생각했다"며 "결론을 내렸지만 아직 의결은 하지 않았다. 최종 의결은 내일 오후 2시에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특별당규위는 예비후보와 캠프 관계자들과 만나 해당 경선 규칙을 정한 이유 등을 설명하고 당원들로부터 의견을 청취하는 절차를 거쳐 이튿날인 12일 오후 2시 최종 의결하겠다는 계획이다. 같은 날 오전 11시에는 중앙당사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참석하는 당원들과 의견을 나누는 절차도 예정됐다.
이 위원장은 "당원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반영하겠지만, 이미 내린 결론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며 "마지막까지 후보자들과 지지자들을 설득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특별당규위는 지난 9일부터 이날까지 여러 차례 회의를 열고 '국민경선'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놓고 논의를 이어왔다. 당원 주권 강화, 역선택 문제 보완 등 사안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선 19·20대 대선 과정에서 민주당이 채택했던 경선 방식인 국민경선은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권리당원에게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한다. 반면 국민참여경선은 일반 국민 50% 이상·권리당원 50% 이하 투표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