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3일까지 민관 합동 방식
환경부는 14일부터 6월 13일까지 전국의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400곳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실태 점검을 한다.
이번 점검은 범정부 차원 ‘2025년 집중안전점검’ 중 하나다. 현장 안전관리 실태를 자세히 파악하고,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미비점을 찾아내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은 인화·폭발성 유해화학물질을 다량 취급하는 사업장 146곳을 포함해 담당 지역 내 취약 사업장을 자체 선정해 점검한다.
인화·폭발성 유해화학물질은 자칫 대형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 2월 울산시 울주군에 한 업체 유류탱크에서 취급 부주의로 화재·폭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환경부는 이번 점검에서 ▲사고 예방 시설 적정 설치 여부 및 관리 실태 ▲정전기 제거 설비 등 취급 시설 기준 준수 여부를 집중 확인할 예정이다.
아울러 ▲유해화학물질 취급 기준 준수 여부 ▲저장탱크·배관·밸브 등 관련 설비 안전관리 실태 ▲자체 점검과 관리대장 작성 여부 등도 함께 점검한다.
점검은 한국환경공단을 포함한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방식으로 이뤄진다. 열화상 카메라, 복합 가스 측정기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점검 정확성과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인화·폭발성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사소한 부주의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집중 안전 점검 이후에도 현장 경험이 풍부한 경력자들을 감시 인력으로 활용해 점검을 확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