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비정규직 부담금 추진에 반발 "경영환경 악화"
기업 경영 자율성 해치는 행위...사실상 준조세
정규직 크게 늘어날 수 없어...세부 기준에 촉각
기업 경영 자율성 해치는 행위...사실상 준조세
정규직 크게 늘어날 수 없어...세부 기준에 촉각
정부가 과도하게 비정규직을 고용하는 대기업들에 대해 부담금 부과를 검토하겠다는 계획을 밝히자 재계가 반발하고 있다. 가뜩이나 어려운 기업 경영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면서 기업의 경영 자율성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일 재계는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가 검토하겠다고 밝힌 과도한 비정규직 채용 대기업 대상 부담금 부과 방안은 기업들의 경영 환경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업종 형태에 따라 비정규직의 활용도가 다를 수밖에 없는데다 시간제 근로자부터 무기계약직 등 비정규직의 근로 형태가 다양한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부담금을 부과하는 정책은 현실과도 맞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대기업 한 관계자는 “고용부담금을 획일적으로 부과하는 것은 자율적이어야 할 기업 경영에 사실상 간섭하는 것”이라며 “정규직으로 전환할 여건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에게는 사실상 준조세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큰 틀에서는 줄여야할 준조세와 같은 기업의 부담을 자꾸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 대기업들이 자회사 설립을 통한 100% 고용으로 정규직 전환을 하더라도 임금체계와 복지 등 조건이 모회사와 동일할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대기업의 직접 고용 형태가 아닌, 중소협력사에서 인력을 받는 현재 구조상 협력사들의 인력 이탈로 인한 구인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단순 고용부담금 부과로 정규직이 획기적으로 늘어날 수 없을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비정규직 채용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겠지만 비용부담이 큰 정규직에 대한 부담은 별개의 문제”라며 “비정규직을 줄이면서 동시에 정규직 채용을 그만큼 늘리기보다 부담금을 내서라도 비정규직을 고용하는 기업이 더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좀 더 지켜보자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아직 검토 단계로 구체적인 내용들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세부사항들이 나온 뒤에 좀 더 면밀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부담금 부과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이는 비정규직의 경우, 시간제부터 계약직까지 정규직을 제외한 모든 근로형태인지, 아니면 그 중에서 일부 인지 등 범위가 확정되지 않으면 부담의 경중을 따질 수 없다는 것이다.
대기업 한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범위부터 부담금 부과 금액, 과다한 고용의 정의 등 세부적인 내용들이 확정되지 않으면 부담의 정도를 가늠할 수 없다”며 “검토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들이 좀 더 구체화되면 의견 개진 등을 통해 보다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신중론에는 새 정부 출범 초기부터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경우, 개혁 대상으로 찍힐 수 있다는 부담감도 작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정부의 일방적인 정규직 전환 방침에 우려를 표했다가 청와대로부터 경고를 받은 것을 상기시키는 모습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정부에서 발표하는 내용에 대해 바로 우려나 반대의 목소리를 내는 것에 부담이 없을 수 없다”며 “의견 개진도 좀 더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