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SKT “25%요금할인 매출에 부정적...보편요금제 수용 어렵다”


입력 2017.11.06 16:53 수정 2017.11.06 16:53        이호연 기자

[컨콜 종합] 취약계층 요금감면 합리적 대안 필요 강조

"단말기 완전 자급제 시행되면, 소모적 경쟁 탈피"

SK텔레콤 로고 ⓒ SKT

SK텔레콤이 정부의 통신비 인하 대책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다시 한 번 내놓았다.

SK텔레콤은 6일 2017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5%요금할인(선택약정할인), 보편요금제, 취약 계층 요금감면 등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장은 “매출 기여도가 높은 핸드세 가입자가 증가하며 1인당 평균매출액(ARPU)가 2분기 이어 3분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면서도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등 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향후 ARPU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편요금제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했다. 유영상 전략기획부문장은 “보편요금제는 정부가 민간 통신 서비스 요금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통신사업자 입장에서는 수용하기 매우 어렵다”라며 “정부의 직접 개입보다 시장에서 요금 경쟁을 활성화하는 정책이 바람직하다. 정부와 협의해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유영상 부문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기초연금 수급자 통신비 감면을 위한 시행령 개정과 저소득층 요금 감면 확대 위한 고시를 손보고 있다”라며 “취약계층 요금감면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감면대상이나 금액에 대해 합리적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속적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SK텔레콤은 단말기 완전 자급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유 부문장은 “단말기 완전 자급제가 시행되면 이용자들이 고가와 단말 대금까지 통신 요금으로 인지해버리는 오류를 개선하고, 통신서비스 차별성을 줌시으로 한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업자들이 비용 소모적인 경쟁에 매몰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유통구조의 변화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오랜 기간 동안 시장 유통구조가 형성됐는데, 이같은 급진적인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칠지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전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