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막론 “쌀 목표가격 너무 적은금액 아니냐” 질타, 이개호 장관 “장기적·국민영향도 생각해야”
여야 막론 “쌀 목표가격 너무 적은금액 아니냐” 질타, 이개호 장관 “장기적·국민영향도 생각해야”
농정의 주요정책이자 국정감사의 단골메뉴인 쌀 문제가 다시 국정감사에서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특히 올해는 5년마다 향후 5년의 쌀값 기준을 정하는 쌀 목표가격을 정해야 하는 해로, 정부가 제시한 쌀 목표가격 ‘19만4000원 플러스 알파’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의와 질타가 이어졌으며, 근본적인 쌀값 안정화 방안 대책에 대한 주문도 대두됐다.
10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첫 질의에 나선 농해수위 소속 자유한국당 이양수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공약한 물가상승율을 그대로 단순 적용해봐도 쌀값이 24만5000원인데, 정부의 목표가격 제시가 너무 적은 금액이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이 의원은 “산업화 시대에 저곡가 정책을 고수하면서 농민들이 희생해왔고 FTA를 하면서 피해를 봤는데 정부는 상생협력기금을 만들어 농민들에 동냥이나 주듯이 생색이나 내 왔다. 문제는 농민들 소득보전 해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민주평화당 김종회 의원은 “2010년 이후 국내총생산은 4.6% 증가했지만 농가소득은 절반인 2.5%밖에 증가하지 못했다”면서 “도시근로자와 소득차를 대비해보면 최근 10년 새 두 배로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기준 고정직불금과 변동직불금을 합쳐 총 49만1822원밖에 지원받지 못하는 등 실질적인 소득 보전이 되지 않았다”면서 “쌀 목표가격의 적정화는 최소한 24만5000원”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의 쌀 목표가격의 제출 시기를 두고도 당초 정부가 밝힌 11월 초 국회 제출 의견에 대해 충분한 국회 심의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10월 말까지 제출해 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농해수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주평화당 황주홍 의원은 이와 관련해 “11월 초 목표가격을 국회에 제출하게 되면 국회 심의가 졸속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면서 “이미 정부가 안을 만들어놓고 제출을 미루면 오해를 살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황 의원은 “적어도 10월말까지는 제출돼야 심의가 가능하다”고 전했고, 이에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0월 중에 반드시 제출토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더해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은 더 과감한 농정개편을 주문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쌀 소득증가와 쌀 직불제, 목표가격 등은 모두 구조적으로 연계된 문제라면서 직불금제 전면 개편을 주장했다.
쌀 목표가격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쌀 목표가를 최대한 많이 줬으면 좋겠지만, 쌀값이 오르면 그만큼 직불금이 많이 드는 구조”라면서 “그런 관점에서 쌀 직불금이 논벼 농가 소득지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는 됐지만 소득지지 효과가 오히려 쌀 과잉 생산을 유도해 쌀값 폭락을 유도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대농의 역할도 인정하지만 가구소득 양극화가 극심해지고 있는 만큼 정부 보조금은 중소영세농의 소득안정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바른미래당 정운천 의원 또한 정부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대안으로 내놔야한다고 역설했다.
정 의원은 “정부와 공직자가 농림부가 아닌 농식품부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쌀 문제도 생산만의 문제가 아닌 생산과 유통, 소비의 선순환 부분으로 접근해야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면서 “그리되면 2조원 이상 농민을 위해 쓸 수 있는 재원이 생길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앞으로 10년 후에는 쌀 소비가 지금보다도 10kg가량 줄어든다는 예측인데, 그 때가서 또다시 악순환을 반복해야겠나”라면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 같은 여야 의원들의 쌀 문제 지적에 대해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정부의 쌀 목표가격은 ‘19만4000원 플러스 알파’로, 최대한 높을수록 좋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목표가격이 높으면 당연히 환영할 만하지만 장기적인 영향이나 국민적 영향에 미칠 부분 생각해 적정선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