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與, 황교안 이어 나경원까지…한국당 때리기에 당력 집중


입력 2019.03.25 15:34 수정 2019.03.25 15:54        고수정 기자

'羅 반민특위 해명 논란'으로까지 대야 전선 확대

與 주도권·위상 되찾겠단 의미…지지율 상승 방증

대야 전선 '羅 반민특위 해명 논란'으로까지 확대
與 주도권·위상 되찾겠단 의미…지지율 상승이 반증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 지도부 때리기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사진은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 지도부 때리기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핵심 타깃은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다. 특히 ‘김정은 수석대변인’ 연설 이후 민주당에 ‘눈엣가시’가 된 나경원 원내대표가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 해명 논란에 휩싸인 사안을 주요 공격 포인트로 삼고 있는 모양새다.

우선 민주당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별장 성접대 의혹에 대해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황 대표의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진상조사 등을 다룰 특별위원회까지 구성하겠다며 황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25일 “‘김학의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을 하자는 국민의 요구를 ‘공작정치’ ‘황교안 죽이기’라고 주장하며 자기 비호에 급급하고 있다”며 “스스로가 떳떳하면 수사를 자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를 ‘정국 반전카드’로 인식하는 모습이다. 황 대표가 당시 김 전 차관의 직속상관이었다는 점에서 김 전 차관의 의혹에 대한 검찰의 무혐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당이 법률 대응까지 고려하는 등 민주당의 공세에 대해 정면 반박하고 있음에도 민주당의 포문은 당분간 닫히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당의 위상을 되찾고 정국 주도권을 다시 잡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이러한 민주당의 대야 전선은 나 원내대표의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해명 논란으로까지 확대됐다. “반민특위로 인해 국민이 분열됐다”는 발언으로 5·18 폄훼 논란을 일으킨 나 원내대표를 향해 독립유공자 등 정치권 안팎의 비난이 쏟아지자, 이를 ‘나경원 때리기’의 기회로 삼은 모습이다.

박광온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야당 원내대표가 반민특위에서 반문특위 비판이라고 말 바꾸 건 국민을 조롱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수진 최고위원도 “친일 청산을 펼쳤던 반민특위를 두고 국민을 분열시켰다는 망언에 이어 이번엔 반문특위를 비판한 거라는 궤변을 늘어놓았다”며 “역사왜곡도 모자라 국민의 촛불까지 매도하는 행태는 두고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 민주당의 공세 의도처럼 비판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지지율은 상승하고 있다. 리얼미터가 지난 18~22일 전국 유권자 2516명을 대상으로 조사(표집오차 95% 신뢰수준 ±2.0%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한 내용에 따르면 민주당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2.3%p 오른 38.9%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당은 전주보다 0.4%p 내린 31.3%를 얻었다.

이번 조사부터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 3주간의 내림세를 마감하고 반등했고, 4주간 상승세를 이어갔던 한국당의 지지율은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에 대해 리얼미터는 “특권층의 연루 정황이 있는 이른바 ‘김학의·장자연·버닝썬’ 3대 성(性) 비위 의혹이 국민적 공분을 일으키면서 권력기관 개혁을 둘러싸고 정부·여당과 보수야당 간의 대립선이 보다 뚜렷하게 드러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민주당의 이 같은 전략은 4·3 재보선때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제 1 야당의 지도부를 동시에 '논란 당사자'로 각인시키면서, 선거구 두 곳 중 한 곳이라도 승리해 정국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미다.

홍 원내대표는 "한국당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이념 논쟁으로 국민을 편가르기 하는데 나서고 있다"며 "통영, 창원 지역 주민의 눈물을 닦아주는 게 정치인이 할 일인데 황 대표는 저급한 색깔론에만 매몰돼 있다. 자신이 자격이 없다는 걸 스스로 알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