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 및 공공 서비스에 디지털 혁신 기술을 접목한 ‘전자정부 혁신기술(GovTech)’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도 맞춤형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한국무역협회 브뤼셀 지부가 발표한 ‘유럽의 GovTech 트렌드 및 시사점’에 따르면 유럽 각국은 강력한 복지정책과 공공서비스 효율화를 추진하면서 전자정부 혁신기술 관련 예산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또 관련 프로젝트, 경연대회, 펀드 등을 마련해 공공분야 문제 해결을 위한 스타트업의 발굴과 육성, 공공기관 협업 등도 추진중이다.
유럽연합(EU)은 연구개발 기금 프로그램 호라이즌(Horizon)2020에 공공서비스 앱 개발 스타트업 지원 예산으로 2억3000만 유로를 배정했다.
영국은 15개 공공분야 문제 해결을 위해 2000만파운드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경연대회를 개최했고, 덴마크는 공공조달의 혁신 중소기업 비중을 유럽 최고인 36%로 확대하는 한편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의 제품전략 수립, 멘토링, 해외진출 등을 지원한다.
윤가영 무역협회 브뤼셀지부 과장은 “전자정부 혁신기술은 정부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우리도 정부 서비스 효율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루기 위해 전자정부 혁신기술과 관련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