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기술적 조정 국면"
개인투자자가 연초 급락 중인 미국 주식을 대거 순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투자 손실로 미국 주식 보관액은 되레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0일까지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순매수 결제액은 17억1767만 달러(한화 약 2조509억원)로 집계됐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PROSHARES ULTRAPRO QQQ)'가 3억2379만 달러로 순매수 규모가 가장 컸다. 이 상장지수펀드(ETF)는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등락률을 3배 따른다.
이어 엔비디아(2억2323만 달러), 애플(1억6655만 달러), 마이크로소프트(1억6124만 달러) 순이다. 서학개미 선호도가 높은 테슬라도 1억1875만 달러 순매수 했다.
개인투자자들은 연초 뉴욕증시가 약세를 보이자 매수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올해 들어 지난 21일까지 7.73% 하락해 주요 20개국(G20)의 대표 지수 중 러시아(12.15%) 다음으로 하락 폭이 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공격적인 긴축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에 주요국 대비 낙폭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선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내 네 번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장은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을 지켜보고 있다.
지난 21일(현지 시각) S&P500지수는 2020년 6월 이후 처음으로 200일 이동평균선을 밑돌아 약세장에 진입했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19일(현지 시각)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월가에서 말하는 기술적 조정 국면에 들어간 상태다.
이에 전문가들은 당분간 보수적인 대응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로 개인투자자의 투자 손실은 늘고 있다.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관 금액은 작년 말 677억7871만 달러(80조9000억원)에서 지난 20일 현재 628억154만 달러(75조원)로 7.3% 감소했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긴축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에 증시 반등은 당분간 제한될 수 있다"며 "조정 폭이 큰 기술주, 중소형주, 블록체인 테마 등의 반등 기대는 크게 갖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