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검사 및 진료체계가 오는 3일부터 본격 전환된다.
2일 보건복지부는 권덕철 복지부 장관이 의료체계 전환을 앞두고 의료기관 현장을 찾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이날 호흡기 진료 의료기관 지정을 신청한 서울 서초구 반포키즈소아청소년과 의원을 찾아 코로나19 검사체계 준비 상황을 살폈다.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은 발열·호흡기 증상자 등 코로나19 환자에 대해 진찰·검사부터 치료까지 '원스톱'으로 관리하는 지역사회 내 의료기관을 의미한다.
대한의사협회 등에 따르면 이날까지 전국 900여곳의 의원급 의료기관이 코로나19 진료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의협 관계자는 "애초 정부와 의협이 목표로 한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1000곳을 충분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대응해 3일부터 동네 의료기관에서도 코로나19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새 검사체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선별진료소가 아닌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치료까지 받을 수 있게 된다. 60세 이상 고위험군 등이 아닌 일반 유증상자는 선별진료소나 의원급 의료기관의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다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아 최종 확진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코로나19 검사 및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명단은 3일부터 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