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대 수입국 중 한국 점유율 하락폭 가장 커
메모리 외 고부가가치 수출 전략품목 발굴 절실
중국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던 한국의 위상이 대외 변수에 따른 수출 감소로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중국의 20대 수입국(2015년 기준) 중 한국의 점유율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15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의 점유율은 2012~2016년 9.8%에서 2017~2021년 8.8%로 1.0%p 하락했다. 패권경쟁 중인 미국도 1.0%p 줄었다. 반면 글로벌 공급망의 허브로 변모하고 있는 아세안 6개국과 대만의 점유율은 각각 2.5%p, 0.8%p 늘었다.
한국의 최대 대(對) 중국 수출품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 하면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8.8%에서 2017~2021년 6.8%로 2.0%p 감소한 반면, 아세안 6개국 점유율은 2.8%p로 늘었다.
최근 5년(2017~2021년) 중국의 부품․소재 수입은 ‘중국제조 2025’로 상징되는 중국의 부품․소재 자급화 등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과 중국 토종기업의 성장으로 2012년~2016년 대비 6.6% 줄었다.
이 같은 중국의 부품소재 수입구조의 근원적 변화는 메모리반도체 이외 범용소재 위주의 한국의 중국 부품소재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해 한국의 중국 부품소재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16.9%에서 2017~2021년 11.9%로 5.0%p 감소했다.
2018년 기준으로 승용차, 의약품, 화장품, 유아용 식료품, 플라스틱제품 등 중국의 10대 수입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2012~2016년 5.4%에서 2017~2021년 4.2%로 1.2%p 감소했다.
이 기간 중국의 화장품 對프랑스 수입이 2012~2016년 대비 2017~2021년 약 4배 증가함에 따라 G5(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아세안6(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중 프랑스만 유일하게 시장점유율이 2.3%p 상승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중국의 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산업고도화 및 내수중심 성장정책은 2016년 이후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감소의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해 기업은 반도체 이외에 고부가가치 철강재․정밀화학제품 등 고부가 대 중국 전략 수출품목을 발굴해야 된다”며 “정부는 2015년 12월 발효 [한-중FTA] 상품 양허 개정 등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