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부서 민정수석실 사정비서관 지내…노무현 정부서도 중용돼 핵심요직 거쳐
재벌수사 지휘해 재벌총수 2명 구속기소, '재계의 저승사자' 불려…2009년 검찰 사직
2016년 박지원 추천 '최순실 게이트' 특검 임명…50여명 기소, '역사상 가장 성공한 특검' 평가
'가짜수산업자' '대장동' 'SG발 폭락 사태' 의혹 등에 연루…모두 수십억 원 수수 혐의
대장동 개발 민간업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거액을 수수했다는 이른바 '50억 클럽' 의혹을 받는 박영수 전 특별검사가 구속은 면했지만 검찰이 "법원의 기각 사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하는 등 세인들의 관심은 여전하다.
1일 복수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유창훈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29일 박 전 특검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현시점에서 피의자를 구속하는 것은 방어권을 지나치게 제한한다고 보인다"는 이유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입장문을 통해 "다수 관련자의 진술과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증거들에 의하면 청탁의 대가로 금품을 수수 및 약속한 점이 충분히 인정되는 상황에서 법원의 기각 사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향후 보강수사를 통해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하겠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1952년생인 박영수 전 특검은 전남 목포 출신으로 동성고,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했다. 1978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를 나와 같은 해 제20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1980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뒤 1983년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로 첫발을 내디뎠다.
2001년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실 사정비서관을 지냈으며, 노무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중용돼 대검 중수부장과 서울고검장 등 검찰 핵심 요직을 거치는 등 승승장구했다.
특히 노무현 정부의 핵심 의제였던 재벌개혁에 앞장서 SK그룹, 현대자동차 등 재벌 수사를 지휘했다. 재벌총수 2명을 구속기소하면서 '재계의 저승사자'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수사 도중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임채진 검찰총장이 과잉수사의 책임을 지고 사직한 후 후배인 김준규가 검찰총장으로 임명되자 검찰의 관례에 따라 사직했다. 이후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
개업 이후인 2012년에는 변협 지자체세금낭비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서울시 세빛둥둥섬사업에 대한 조사에 착수해 오세훈 전 시장과 담당 공무원들을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검찰에 수사의뢰하기도 했다.
2016년 11월 30일 박지원 전 국정원장의 추천으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특별검사(특검)으로 임명돼 국민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른바 '국정농단 특검팀'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해 국정농단 관련자 50여명을 기소하면서 '가장 성공한 특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2021년 포항 가짜 수산업자에게서 대게, 과메기, 포르쉐 차량 등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박 전 특검의 명예는 금이 가기 시작했다. 결국 그는 5년여 만에 불명예 퇴진했다.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진 그는 지난 4월 18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첫 공판준비기일에서 변호인을 통해 "특검은 공직자가 아니다"라며 처벌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더해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사건에 연루됐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컨소시엄 출자와 여신의향서 발급 조건으로 대장동 일당으로부터 200억원 상당의 이익과 단독주택 2채를 약속받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또한 대한변호사협회장 선거 자금 명목으로 3억원을 받은 혐의도 받는다. 이 모든 건 그가 특검에 임명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다.
아울러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에서 11억원을 빌렸고, 2021년 6월 화천대유가 소유한 대장동 아파트를 분양받아 8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얻는 등 약 25억원의 이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특검의 이름은 'SG증권발(發) 주가 폭락 사태'에도 등장한다. 박 전 특검이 시세조종 주범으로 지목된 라덕연 호안 대표 일당이 운영하는 회사의 법률 자문을 맡았다는 의혹이다. 해당 회사는 주가조작 세력이 골프회원권을 명목으로 투자자들에게 수수료를 받는 창구로 활용된 곳이다.
박 전 특검은 올해 4월까지 이 회사들로부터 고문료로 각각 550만원씩 총 66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특검 측은 단순 자문 역할만 맡았다고 주장하지만, '50억 클럽' 의혹이 불거지고 검찰 수사 대상에 오른 지난해 9월 고문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불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