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융 부실 불똥] 지방 부실채권 절반 증가…가계대출 늘리기 '고육지책'


입력 2025.02.12 07:04 수정 2025.02.12 07:04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지난해 3대 지방금융 고정이하여신 2조8790억원

한 해 전보다 47% 급증…고금리·부동산 PF 여파

"가계대출 집중" 대안에도 지역 소회 우려 나와

리스크 도미노 차단 이미지. ⓒ연합뉴스

지난해 지방금융지주의 부실채권이 1년 전보다 절반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로 지역 경제가 무너지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빌린 돈 마저 갚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이에 지방은행들은 올해 부실률이 높은 기업대출보다 가계대출에 집중 할 방침이다. 을 건전성 개선에 팔을 걷어올린 모양새지만 결국 지역 중소기업이 소외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BNK·DGB·JB 등 3대 지방 금융지주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2조87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폭증했다.


은행은 대출자산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누는데, 이중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에 해당하는 고정이하여신을 통상 부실채권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정이하여신이란 은행이 내준 전체 여신에서 3개월 이상 연체돼 회수가 어려운 채권을 뜻한다. 추정손실에 가까울수록 연체 기간이 길어지거나 회수가 어렵다.


이들 금융지주의 총여신 중에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3대 지방금융 전체 여신 중 부실채권은 1.2%를 차지하며 같은 기간 동안 0.3%포인트(p) 늘었다. 같은 기간동안 합산 순이익이 1조6136억원에서 1조7010억원으로 5.4% 오른 것을 감안하면 증가율이 가파르다.


지주별로 살펴보면 BNK금융의 부실대출 증가율이 66%로 가장 높았고, 이어 DGB금융이 45%, JB금융이 1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렇게 지방금융의 부실대출이 늘어난 이유로는 고금리와 지역 경기 침체 여파 영향이 크다. 특히 지방은행들은 중소기업 위주로 대출을 취급했는데, 이들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건전성이 악화됐다는 것이다.


권재중 BNK금융 CFO는 지난 6일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건전성 악화에 대한 질문에 "기본적으로 기업대출에 편중된 부분이 있고 기업 중에서도 중소기업 위주로 되어 있다 보니 수익성이 좋은 편도 아니다"며 진단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요인도 크게 작용했다. DGB금융의 경우 부동산 PF 부실 여파가 그룹 계열사의 자산 부실로 이어졌고, 지난해 총 2951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다. 부실에 대비한 충당금이 늘어났다는 것은 그만큼 건전성이 악화된 채권의 비율이 늘었다는 얘기다.


이에 지방금융은 올해 '가계대출 확대'를 전략으로 삼고 본격적으로건전성 개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중소기업 위주의 기업대출보다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것이 은행 입장에선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해서다.


실제 지난해 부산·경남·전북·광주은행·iM뱅크 등 지방은행 5곳의 기업대출 연체금액은 총 7913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9%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잔액 증가율이 8.1%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가계대출로 영업 방향이 옮겨가게 되면 지방 중소기업이 외면받아 지역 경기 침체의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지방금융의 건전성이 악화한 것은 빚 부담이 큰 기업 대출 위주로 부실 채권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며 "올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면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