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기류 속 '중도확장성' 부각 방점
비명계와 혁신당 '오픈프라이머리' 주장
경선 선관위원회도 중립 인사들 배치되나
조기 대선이 6월 3일 잠정 결정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 이재명) 기류 속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여유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대표는 경선 캠프에 친명계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본선까지 '중도확장성'을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
7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8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조기 대선 선거일을 지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빠르면 8일 오후, 혹은 9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대표직 사퇴를 발표하고 곧장 당을 조기 대선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재명 경선 캠프' 인선은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계파색이 옅은 5선 윤호중(선거대책위원장)·4선 윤후덕(정책본부장)·3선 강훈식(총괄본부장) 의원이 전진 배치되며,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한병도·박수현 의원 등이 합류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당내 압도적인 지지율을 받는 만큼 본선까지 '확장성'에 주력한다는 복안이다.
친명계에선 3선 김영진 의원이 정무총괄을 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본선에선 경선 캠프 인사들을 주축으로 친명계 의원들이 전면에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당내 경선에서 이 대표를 지원할 정책 싱크탱크인 '성장과 통합'도 오는 16일 오전 10시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출범한다.
성장과 통합은 경제 성장에 중점을 둔 대선 공약을 당 외곽에서 물밑 준비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2014년 이 대표가 성남시장 후보시절부터 정책조언을 해온 유종일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이 수장을 맡았다.
한편 민주당은 이 대표 사퇴 즉시 특별당규준비위원회와 경선 선관위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에서는 △현재 권리당원 50% 이하, 일반 국민(권리당원이 아닌 유권자) 50% 이상을 경선에 참여시키는 '국민참여경선' △대의원·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면서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에 투표권을 부여하는 '국민경선' 등 두 가지 안이 거론된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두 가지 방안을 실무적으로 준비해왔다"고 설명했다. 지난 대선과 2017년 대선 본경선 때는 국민경선 방식이 채택됐다.
여기에 비명(비이재명)계와 조국혁신당은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경선룰을 놓고 이 대표와 비명계 잠룡들이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도 나온다. 경남도지사를 지낸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출마선언을 하며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SBS라디오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은) 8년 전에도 나왔던 얘기로 당시 문재인 후보는 헌법의 원리에 맞지 않고,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얘기했다"며 "지금 130만 명이 넘는 권리당원이 있고, 일반 당원만 해도 500만 명 정도 되는데 그들의 후보 선출권을 박탈하는 결정을 어떻게 할 수 있겠느냐"라고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선을 그었다.
이런 상황에서 경선을 관리하는 선관위원장을 누가 맡을 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친명 색채가 옅은 중립적인 인물이 발탁돼, 경선룰 등 선거의 중립성이 강조돼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