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협회 부회장 1년간 공석…창구 역할 '실종'으로 비판 거세
시장 제도·수입차 분위기 대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 필요
일본차 브랜드 불매운동. 레몬법(자동차 교환 및 환불제도). 배출가스 규제. 저공해차 의무 판매제. 지난해 수입차업계를 강타한 이슈들이다.
배출가스 규제 강화는 디젤 모델 인증 지연으로 이어지면서 아우디 코리아, 폭스바겐 코리아 등 독일 수입차 브랜드들의 판매가 고꾸라졌다. 저공해차 의무 판매제 역시 정부가 과도하게 친환경차 판매를 강제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제기되면서 업계가 한 차례 들썩이기도 했다.
일본차 불매운동으로 토요타·렉서스·닛산·인피니티·혼다 코리아 등 일본차 브랜드들은 나란히 생존 문제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극심한 판매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 같은 수입차업계의 위기에도 이들을 대변하는 목소리는 전무하다. 한국수입차협회(KAIDA)가 업계의 창구 역할임에도 거의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책 건의라던가 그 흔한 언론 플레이마저 없자 과연 협회가 제 역할을 하고 있냐는 의구심이 가중되고 있다.
협회의 역할 실종은 사실 리더십 부재와 연관이 크다. 윤대성 부회장이 지난해 3월 은퇴한 이후 1년이 가까운 현재까지 부회장직은 공석이다. 상근 부회장의 역할이 곧 협회 안팎의 살림을 챙긴다는 것을 감안하면 후임 부재는 사실상 업무 마비 상태와 다름없다.
협회 대외 활동을 맡아야 할 정우영 수입차협회장도 마찬가지다. 급변하는 수입차 시장에서 이렇다 할 존재감을 찾아볼 수 없다는 비판이다. 특히 혼다 코리아 회장이기도 한 그는 지난해 일본차 브랜드의 수모를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인물로, 소비자들의 비판을 감수하면서라도 이들의 절박함을 밖으로 호소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수입차 시장은 제도 변화, 한일 갈등으로 인한 여파로 지난해 판매량이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불매 운동은 여태 식을 줄 모르고 코로나19라는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절대절명의 위기에서 중심을 잡고 제대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할 협회가 이런 저런 이유만으로 침묵한다면 존립 이유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세질 수 밖에 없다. 이런 안일한 태도로는 지난해를 그대로 답습하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협회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정 회장은 아직 총회 일정이 잡히지 않았지만 별다른 결격사유가 없는 한 재선임될 가능성이 높다. 그는 2018년 4월 선임 당시 "중요한 시기에 수입차 시장을 대표하는 중책을 맡아 책임감이 막중하다. 수입차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말이 올해 제대로 실현되려면 하루 빨리 무너진 리더십을 세우고 업계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내는 태도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역대 최악의 수입차협회장으로 남지 않으려면 말이다.